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실명

다른 표기 언어 blindness , 失明 동의어 NLP

요약 일시적으로 또는 계속해서 한쪽 눈이나 양쪽 눈 모두의 시력을 잃는 것.

실명(blindness)

ⓒ Andrey_Popov/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일시적인 실명을 일시적 시각상실이라 하는데, 이런 상태는 비행기조종사나 우주비행사에게 발생하며 갑자기 속력이 증가해 머리에서 발 쪽으로 받는 힘이 중력의 5~6배까지 될 때 나타난다. 신장에 생기는 병인 사구체신염(絲毬體腎炎)이 있을 때에도 일시적인 시각상실이 올 수 있다. 계속되는 실명은 눈의 뒷면과 옆면에 있는 빛을 감지하는 조직층인 망막으로 빛을 보내는 구조나 물질에 영향을 주는 상처나 병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고, 망막 자체나 시신경 또는 시각을 담당하는 뇌 영역에 상처를 입거나 병이 생겼을 때에도 나타난다.

성병을 포함한 많은 전염성 질병이 실명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갓 태어난 아이의 눈에 질산은 용액을 떨어뜨리는 것이 필수적으로 실시되기 전에는 임질이 있는 임산부에게서 태어난 신생아는 시력을 잃었다. 매독에 걸린 임산부를 치료하지 않으면 태아의 눈 형성과정이 불완전하게 진행되어 시력을 잃는데, 임산부가 임신 후 처음 3개월 동안 풍진(風疹)을 앓을 때에도 이와 비슷한 경과를 보인다. 트라코마와 나병이 유행하는 지역에서는 이 병 때문에 시력을 잃는 경우가 많다. 시력을 앗아갈 수 있는 다른 전염성 질병에는 결핵·수막염(髓膜炎)·홍역·디프테리아·성홍열(猩紅熱) 등이 있다. 회선사상충(Onchocerca volvulus)이 눈에 침입하여 시력을 잃는 수도 있다.

몇몇 비전염성 전신적 질병도 실명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분비된 인슐린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해서 생기는 내분비 질병인 당뇨병을 앓으면 망막이 손상되거나, 수정체가 흐려져 망막까지 빛이 못 가게 되는 백내장(白內障)이 올 수 있다(→ 백내장). 동맥이 딱딱해지는 동맥경화증(動脈硬化症)의 일종으로 혈관의 내막에 지방성 반(斑)이 생기는 죽상동맥경화증은 혈액 공급을 방해해서 망막조직과 시신경의 위축을 초래한다. 영양결핍으로 생기는 질병들은 동공과 홍채 앞에 있는 투명한 부분인 각막을 연하고 혼탁하게 만들어 실명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수정체가 흐려지는 백내장, 안구내압의 상승으로 시신경을 위축시키는 녹내장과 같은 눈 자체의 질환으로 실명이 될 수도 있다(→ 녹내장).→ 시계장애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증상

증상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실명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