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미국 캘리포니아 주 중서부에 있는 대단위 공업단지. 스탠포드 대학이 있는 팰로 앨토와 샌프란시스코 만에서 남동쪽의 새너제이 시에 이르는 지역으로 약 40㎞에 걸쳐 뻗어 있다. 1950년대부터 스탠포드 대학과 인근 기업간의 산학 협동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정착하면서 첨단 기술 업체들이 몰려들어 컴퓨터와 인터넷 사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목차
접기개요
스탠포드 대학이 있는 팰로 앨토와 샌프란시스코 만에서 남동쪽의 새너제이 시에 이르는 지역. 약 40㎞에 걸쳐 뻗어 있다. 서니베일·샌타클래라·로스앨토스·마운틴뷰 등 여러 자치체가 이 지역 내에 있다. '실리콘'이라는 이름은 컴퓨터 회로에 사용되는 반도체의 기본재료인 실리콘에서 파생되었다.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실리콘 밸리가 있는 지역의 대부분은 농업이 주업이었으며, 과수원이 많았는데, 과일 맛이 좋아 주변 지역에서 인기가 있었다. 1950년~1980년대에 전자·컴퓨터 산업 분야의 기업체와 공장들이 이곳에 집중되면서 이 지역은 디지털 경제와 인터넷 산업과 동의어가 되었으며, 21세기를 낳은 새로운 신화의 중심지로 떠올랐다.
초기 역사
실리콘 밸리 신화의 토대를 닦은 사람은 프레드릭 터먼(Frederick E. Terman)이었다. 그는 스탠포드 대학에서 학부를 마친 후 메사추세츠 공과대학 대학원에서 공부하면서, 교수가 관련 업계와의 소통을 통해 학생의 진로를 함께 개척하는 것을 관찰했다. 터먼은 팰로 앨토에 복귀하면서 스탠포드 대학교의 전기공학 관련 학과가 부족하다는 것을 깨닫고, 무선통신 연구의 중심지로 스탠포드 대학 인근의 업계와 협력하기로 했다. 초기의 휴렛패커드는 그중 하나였다. 세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그에 의해 스탠포드 대학은 미시시피 강 서쪽 지역에서 전자공학 분야에서 가장 앞선 대학이 되었다.
1951년 그는 첨단 기술 기업에 대학이 소유한 토지를 장기 임대 형식으로 빌려주었다. 이스트만 코닥, 제너럴 일렉트릭, 록히드, 휴렛패커드 등이 당시 스탠포드 대학 소유 토지에 공장을 세웠다. 기업은 교수들의 자문을 받았고, 기업의 연구원들은 학교에서 강의를 했으며, 졸업생들은 인근 기업에 취업을 하면서, 바람직한 산학 협동 모델이 정착하게 되었다. 이러한 선순환 모델을 바탕으로 전자 부품, 첨단 기술에 장점을 가진 많은 회사들이 이 지역으로 몰려왔다.
신화의 형성과 지역 성장
트랜지스터를 발명하여 노벨상을 받은 윌리엄 쇼클리(William Shockley)가 1956년 스탠포드 대학 근처에 쇼클리 반도체 연구소를 설립했다. 곧 이 일대는 미국 반도체 산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1970년대에 들어서자, 이 지역은 금융 자본으로 초기 설립 자금을 마련하는 일부터, 직원을 고용하고 회사를 세우는 일까지 몇주 내에 완료할 수 있는 창업의 메카가 되었다. 개인용 컴퓨터 시장에서 반도체로, 다시 인터넷 시장으로 전환되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실리콘 밸리의 풍경은 계속 바뀌었다. 스탠포드 대학의 학생들은 실리콘 밸리에서 성공한 기업가가 다시 실리콘 밸리에 돌아와 매년 100개씩 생겨나는 벤처 기업에 투자하는 모습을 목격했다. 이 지역은 인재와 자금과 기술의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이었으며, 이 세 가지가 서로 언제든 만날 수 있는 상호작용이 하나의 지역문화로 정착했다.
1959년에 1만 8,000개의 첨단 기술 기술자가 필요했는데, 1971년에는 11만 7,000명이 필요했고, 1990년에는 26만 8,000명이 요청되었다. 많은 해외의 인재들이 이 지역으로 몰려들었다. 2000년 이후 이 지역 평균 소득은 미국 다른 대도시 지역의 두 배 이상이었다. 2000년 이후 장기 경제 불황이 미국 전역을 덮었지만, 실리콘 밸리는 다른 지역보다는 그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며, 여전히 새로운 가능성을 찾는 사람들과 투자가들이 열심히 일하는 곳으로 남았다. 트위터, 페이스북, 애플 사 등 이 지역에 자리잡고 있는 당대 최고의 인터넷 기업들은 실리콘 밸리를 찾는 사람들이 반드시 들러야 하는 관광지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