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신성

다른 표기 언어 新城

요약 만주 푸순 시[撫順市] 북동쪽의 북관산성(北關山城)으로 비정되는 고구려의 성.

276년(서천왕 7) 왕이 순시했다는 기록이 있고, 293년(봉상왕 2) 모용씨가 고구려 국경 안으로 쳐들어와 신성을 지키던 소형(小兄) 고노자(高奴子)가 500명의 기병을 이끌고 분전하여 격퇴했다. 335년(고국원왕 5)에 수축(修築)되어 고구려의 서방요충이 되었다.

339년에는 모용황(慕容皝)이 신성을 공격한 적이 있다. 399년(광개토왕 9) 후연왕 모용성(慕容盛)이 침입해서 신성과 남소성(南蘇城 : 南山城子)을 공격하여 5,000여 호를 끌고 간 데 대하여 광개토왕은 401년에 본격적인 보복전을 감행하기도 했다. 613년 수나라 양제의 2번째 침입 때 왕인공(王仁恭)이 거느리는 군대가 신성을 공격했으나 함락에는 실패했다. 그후 665년(보장왕 24)에 당 태종이 고구려를 침략했을 때 함락시키지 못했으나, 667년 당나라 장수 이세적(李世勣)에게 함락되었다.

고구려 멸망 후 그 유민의 저항으로 당은 평양의 안동도호부를 676년에 요동성(遼東城)으로 옮겼다가, 다시 이듬해에 신성으로 옮긴 적이 있다. 그후 이 지역이 발해·말갈 등에 점령되자 이곳에 설치되었던 신성주(新城州)도 함께 없어졌다. 고구려가 푸순 부근에 신성을, 안안(鞍安) 부근의 평곽(平郭)에 건안성을 쌓아 중요시한 이유는 이 지역이 국방상의 요충지이기도 했고 철광을 확보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고구려

고구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신성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