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일본이 한국의 역사를 서술했던 방식. 처음에 일제는 조선의 역사 자료를 조사하여 식민사관을 입증하는 자료로 쓰려고 했지만, 조사과정에서 스스로 인정했던 조선의 문명과 전통이 발견되자 이를 식민사관의 관점에 끼워맞추기 시작했다. 이에 1915년 조선반도사 편찬에 착수했고, 3.1운동으로 인해 사업이 흐지부지해지자 1922년 조선사편찬위원회를 발족시키고 1925년 조선사편수회를 설립하기에 이르렀다. 결국 일제는 1937년 <조선사>를 완성했고, 그 과정에서 참고되었던 모든 자료는 일제로 수집되어 대중들은 일제의 시선에서 작성된 <조선사>만으로 조선의 역사를 파악할 수 밖에 없었다.
일제는 한일합병 직후 관학자들을 동원하여 고적조사·구관제도조사(舊慣制度調査) 등 여러 사업을 실시하여 식민지통치에 필요한 한국의 역사·지리·풍속·법제 등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한편, 이를 타율성론·정체성론·일선동조론 등 식민사관의 명제를 입증하는 데 이용하려 했다.
그런데 조사과정에서 일제는 "조선인은 다른 식민지에서의 야만반개(野蠻半開)의 민족과 달라 독서속문(讀書屬文)에서 문명인에 떨어지는 바가 없다"고 1916년 펴낸 〈조선반도사 편찬요지〉에서 스스로 토로하듯이 한민족의 유구한 역사와 문화전통을 발견했다. 또한 때마침 민족주의 역사가 박은식이 중국에서 지은 〈한국통사〉와 〈한국독립운동지혈사〉가 국내에 유입되어 널리 읽히면서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고 있었다. 이에 자극받은 일제는 서둘러 식민사관에 입각하여 한국사의 재구성 작업을 진행시켰다. 1915년 총독부 중추원 내에 편찬과를 설치하여 미우라[三浦周行]·이마니시[今西龍]·구로이타[黑板勝美] 3명을 촉탁으로 조선반도사 편찬에 착수했다. 이들에 의해 작성된 〈조선반도사 편찬요지〉에서는 박은식의 〈한국통사〉를 비판하면서 식민사관에 입각하여 한국사를 편찬함으로써 조선인의 민족의식의 말살과 항일독립운동의 절멸을 꾀할 것을 주장했다. 그런데 3·1운동으로 항일독립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조선사편찬이 시급해지고, 또한 소규모사업으로는 조선사 편찬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음이 드러나자, 1922년 조선사편찬위원회를 발족시켰다. 그리고 1925년에는 일제 총독부의 정무총감을 회장으로 하는 독립관청으로까지 확대해 조선사편수회를 설립했다. 조선사편수회는 식민사관에 입각한 체계적인 조선사편찬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1931년부터 부분적인 인쇄에 들어갔으며, 1937년에는 전35권 2만 4,000쪽에 이르는 〈조선사〉를 완성했다. 〈조선사〉는 편년체로 기술되었고 사료편으로만 채워졌는데, 외관상으로는 모든 사료를 망라하여 서술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식민사관에 입각해 많은 취사선택이 가해졌다. 한편 일제는 조선사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사료수집의 중요성을 강조해 전국 각지에 산재해 있는 각종 고기록과 문서류의 수집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이에 대해 일제 관학자들은 '학술적이고 공평한' 조선사의 편찬과 사료의 인멸방지를 위한 것이라고 강변했지만, 실제로는 일반인의 사료접촉을 막고 오직 그들의 식민사관에 입각해서 편찬한 조선사만을 읽게 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었다. 조선사편수회 외에도 1926년 설치된 경성제국대학의 법문학부에서도 식민사관에 입각한 역사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