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시화총림

다른 표기 언어 詩話叢林

요약 홍만종(洪萬宗:1643~1725)이 역대 24종의 시화서를 모아 엮은 책.

4권(춘·하·추·동) 4책. 필사본. 홍만종은 〈소화시평〉·〈시평보유〉를 지어 자신의 시평을 정리한 뒤, 만년인 70세에 고려시대부터 자신의 시대에 이르기까지 24종의 문헌에서 타인들이 행한 시평을 선발하여 〈시화총림〉으로 묶었다. 권두에 1712년에 쓴 홍만종의 자서(自序)·목록·범례가 있고 권말에는 부증정(附證正)과 1714년에 쓴 임경·임방의 발문이 있다.

자서를 보면, "우리나라는 시에서는 일가를 이룬 사람이 왕왕 있지만 시평을 행한 사람은 적고, 있더라도 볼 만한 경우가 드물다"고 전제한 뒤, 여러 사람의 저서에서 시화만을 취해 일편을 만든다고 하여 편찬의도를 분명히 밝히고 있다. 범례에 의하면 〈파한집〉·〈보한집〉·〈동인시화〉와 같이 순수한 시화집은 수록되지 않았으며, 〈역옹패설〉·〈어우야담〉 등의 책에서는 내용 중에 섞여 있는 시화만을 간추려 초록한다"고 하여 일정한 선집의 기준 아래 〈시화총림〉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목차를 살펴보면, 권1에 이규보의 〈백운소설 白雲小說〉, 이제현의 〈역옹패설〉, 성현의 〈용재총화 慵齊叢話〉, 남효온의 〈추강냉화 秋江冷話〉, 김정국의 〈사재척언 思齋摭言〉, 조신의 〈소문쇄록 謏聞瑣錄〉, 김안로의 〈용천담적기 龍泉談寂記〉, 권2에 심수경의 〈견한잡록 遣閑雜錄〉, 권용한의 〈송계만록 松溪漫錄〉, 어숙권의 〈패관잡기 稗官雜記〉, 이제신의 〈청강시화 淸江詩話〉, 윤근수의 〈월정만록 月汀漫錄〉, 차천로의 〈오산설림 五山說林〉, 신흠의 〈청창연담 晴窓軟談〉·〈산중독언 山中獨言〉, 권3에 이수광의 〈지봉유설 芝峰類說〉, 유몽인의 〈어우야담 於于野談〉, 허균의 〈성수시화 星叟詩話〉, 양경우의 〈제호시화 霽湖詩話〉, 장유의 〈계곡만필 溪谷漫筆〉, 권4에 김득신의 〈종남총지 終南叢志〉, 남용익의 〈호곡만필 壺谷漫筆〉, 임방의 〈수촌만록 水村漫錄〉, 임경의 〈현호쇄담 玄湖瑣談〉이 시대순으로 실려 있다.

이중 〈백운소설〉은 종래에는 이규보가 지은 것으로 알려져왔으나 명대의 시화집 내용이 실려 있는 등, 여러 자료로 보아 홍만종이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서 시화와 관련된 부분을 뽑아서 묶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권말의 〈시화총림증정 詩話叢林證正〉에서는 시의 작자를 고증하고, 시의 출처를 밝혀 표절 여부를 가려냈다. 1961년 문림사에서 이병기 소장본을 유인(鍮印)했고, 1973년 아세아문화사에서 영인했다. 1980년 태학사에서 〈홍만종전집〉을 간행할 때 다시 수록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출판

출판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시화총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