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황해도 장연지방 농민들이 정월 대보름에 하던 집단 가무놀이.
시절윷놀이라는 용어는 집단 가무놀이에 앞서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윷놀이를 했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놀이 가운데 씨 뿌리는 동작이 많아 종군(種軍)놀이·부종군(付種軍)놀이라고도 한다.
매년 정월 보름을 사흘 앞두고 견문과 신망이 있는 사람을 '소탄관'(소를 타고 행사를 지휘하는 관원)으로 뽑고 큰 집 사랑방을 준비장소로 정한다.
천·종이·물감 등 필요한 재료는 추렴으로 준비하여 여러 가지 가장물(假裝物)을 만든다. 대보름날 아침 남자들이 명절 옷차림으로 모여 '산'패와 '들'패로 나눈다. 각 패에서는 윷놀이 선수로 2~3명의 대표를 선정한다. 양편의 선수들이 윷을 놀기 시작하면 관중들은 윷가락을 던질 때마다 환성을 지르고 농악대는 자진가락으로 농악을 울려 윷판에 흥을 돋운다. 약속한 점수를 먼저 얻는 편이 이기게 된다. 예부터 산패가 이기면 밭농사가 잘되고, 들패가 이기면 논농사가 잘되며, 둘이 엇비슷한 점수이면 논·밭농사 모두가 잘된다고 했다.
윷놀이가 끝나면 소탄관을 앞세우고 마을을 돈다. 그뒤에는 농악대와 쟁기·호미·도리깨 등 농기구를 든 사람들이 따랐다. 이들은 민요를 부르면서 행렬을 잇고 읍에 이르면 옛 동헌 앞에서 한바탕 춤을 추고 행렬을 멈춘다. 이때 소탄관이 〈농부가〉를 먼저 메기면 사람들은 씨 뿌리고 모를 내는 흉내를 내며 즉흥적으로 춤을 춘다. 노래나 춤이 가을걷이와 마당질로 들어서면 놀이는 절정을 이루며, 놀이가 거의 끝나가면 마을사람들이 노래와 춤으로 한바탕 난장을 벌인다. 동이 트면 몸에 지녔던 가장물을 불에 던져 태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놀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