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시스탄

다른 표기 언어 Sistan

요약 이란 동부에서 아프가니스탄 남서부에 걸쳐 있는 넓은 국경지역.
Seistan이라고도 씀.

시스탄(Sistan)

시스탄의 위치

ⓒ Tatiana53/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전체 면적 약 1만 8,000㎢ 가운데 40%가 이란에 속하고 인구의 반 정도가 이란의 자볼 군에 거주한다. 이 지역은 고도 450~520m 정도의 넓은 함몰지로 이루어져 있다. 수많은 하천이 일련의 석호에 물을 공급하며 홍수기에는 남쪽에 있는 또다른 함몰지로 물이 빠져 나가는 수심 얕은 하나의 큰 호수를 형성한다.

파라 강의 라시주와인 삼각주와 카시 강의 차칸수르 삼각주(둘 다 아프가니스탄에 있음), 그리고 이란령인 헬만드 강의 시스탄 본토 삼각주 등 3개의 큰 삼각주가 주요거주지를 형성하고 있다. 시스탄은 전형적인 사막기후를 보인다. 연평균강우량은 100㎜ 미만으로 아주 불규칙적으로 비가 내리며, 여름에는 찌는 듯이 무덥고 겨울에는 서리가 내리는 일이 반복된다. '120일 풍(風)'이 여름에 북쪽으로부터 끊임없이 불어와 심각한 침식을 일으킨다. 주민은 혼혈인종이기는 해도, 주로 아프가니스탄과 투르키스탄의 이란계 원주민인 타지크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밖에 자트족과 구자르족, 인도 소를 기르는 가브다르족, 그리고 유목민적 성향이 강한 발루치족과 브라후이족이 거주한다. 1959년 이후 이란령 시스탄은 발루체스탄과 합쳐 하나의 주를 형성했다. 자볼은 도로를 통해 메셰드-자헤단 간선도로와 이어진다. 자헤단은 퀘타(파키스탄)행 철도의 시발역으로 세계로 통하는 관문이기도 하다. 아프가니스탄령 시스탄의 주도는 차칸수르이다. 시스탄의 경제는 분쟁과 부패, 고립으로 인해 성장하지 못하고 해마다 홍수로 떠내려가는 임시 댐에 의존해 농업부문을 지탱해왔으나 오늘날에는 약 13만㏊의 농지를 관개하는 2개의 보가 완성되어 밀·보리 등의 주요작물을 재배하고 면화와 옥수수를 생산한다. 시스탄은 페르시아의 전설적인 카얀 왕조의 발원지로 알려져 있다. AD 226년부터 사산 왕조의 군주들이 댐과 관개운하들을 건설하여 시스탄을 다스렸다. 7세기 중엽에 이슬람교도 아랍인들이 침입하여 이슬람교를 전했지만 다른 지역에 비해 그 성과가 적었다. 그후 수세기 동안 시스탄은 연이어 토착 왕조와 외래 왕조들의 지배를 받았는데, 그 가운데 14세기 투르크족의 정복자 티무르의 통치는 혹독했다. 뒤이어 시스탄은 자신들의 말리크(왕)가 통치하는 독립지역이 되었다. 페르시아의 샤 이스마일 1세(1502~24 재위)에게 정복되었으나 그와 후계자들은 대부분 말리크에게 통치권을 위임했다. 1747년에는 한 아프가니스탄인의 지배하에 들어갔으며, 그가 죽은 뒤 오랫동안 이란과 아프가니스탄 사이의 분쟁지역으로 남게 되었다. 이 분쟁의 해결을 위해 1872년 영국이 중재에 나서 이란과 아프가니스탄의 국경설정 작업이 시작되었는데, 이 작업은 1903~05년에 이르러서 마무리지어졌다. 1970년대초 이란 정부는 시스탄의 대대적인 관개사업을 후원했다.

지도
시스탄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중동

중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시스탄(Sistan)


[Daum백과] 시스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