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시마즈 나리아키라

다른 표기 언어 Shimazu Nariakira , 島津錦
요약 테이블
출생 1809. 11. 5, 일본 에도[江戶]
사망 1858. 8. 24, 사쓰마 한[薩摩藩] 가고시마[鹿兒島]
국적 일본

요약 일본 사쓰마 한의 다이묘[大名].

서구의 군사기술과 군비제도를 채택함으로써 사쓰마를 일본에서 가장 강력한 봉건영지 가운데 하나로 만들었으며, 사쓰마 한이 도쿠가와 바쿠후 타도하고 1868년 새로운 덴노 정부를 수립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힘썼다.

시마즈 집안은 오랜 세월 동안 류큐 열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왔으며 이에 따라 일본 내 다른 집안들에 비해 외국문물에 보다 친숙할 수 있었다. 나리아키라는 1851년 사쓰마의 한슈[藩主]가 되자 자신의 군대에 서구식 훈련방식을 도입하고 근대적 화기 생산을 위한 용광로를 건설하는 등 외국으로부터 받아들인 지식을 실용화했다.

단기간 내에 부두시설이 건설되었으며 증기선이 진수되었다. 또한 프랑스를 본뜬 기병대가 창설되어 훈련을 받았으며 서구식 해군이 출범했다. 이와 함께 비(非)군사적 용도인 여러 산업도 유치되었다. 또한 하급무사 출신 청년들을 한[藩]의 고위직으로 등용함으로써 이들이 1868년 메이지 유신을 주도하여 권력의 지위로 부상할 수 있게 되는 기틀을 만들었다.

나리아키라 자신은 1853년 미국의 매튜 C. 페리 제독의 내항으로 야기된 위험한 상황에서 도쿠가와 바쿠후의 주요조언자로 활약하여 국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당시 페리 제독의 임무는 일본으로 하여금 외부세계에 문을 열고 교류하게 하는 것이었는데, 그는 바쿠후에 대해 온건한 정책을 취하도록 조언한 몇몇 봉건영주 가운데 한 사람으로서 일본이 군비를 강화하기 위한 시간을 벌기 위해서는 페리 제독의 요구를 일시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나 바쿠후는 페리 제독의 개항 요구를 지나치게 많이 받아들여 나리아키라로부터 비난을 샀으며 당시 그는 도쿠가와 요시노부를 쇼군 계승자로 선출할 것을 주장하는 다른 강력한 영주들 편에 가담하고 있었다. 이때문에 나리아키라는 사퇴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며, 이후 시마즈 집안과 도쿠가와 집안 사이에 알력이 생기고 1868년 메이지 유신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가 죽은 지 10년 후의 일이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시마즈 나리아키라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