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스파크

다른 표기 언어 Paul-Henri Spaak
요약 테이블
출생 1899. 1. 25, 벨기에 브뤼셀 근처 스하르베크
사망 1972. 7. 31, 브뤼셀
국적 벨기에

요약 벨기에의 정치가.

제2차 세계대전 후 벨기에 정치를 주도했으며 유럽 통합을 선도했다.

유럽 경제공동체(EEC),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벨기에·네덜란드·룩셈부르크 3국의 관세동맹인 베넬룩스를 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21~31년 변호사로 활동한 뒤 1932년 사회당 소속으로 하원에 진출했다. 외무장관 시절(1936~38)에는 벨기에가 독자외교를 수행할 수 있도록 영국 및 프랑스 정부의 승인을 얻어냈다. 1938~39년 벨기에 최초의 사회당 총리를 지냈으며 제2차 세계대전 동안에는 런던의 뮈베르 피에를로 망명내각에서 다시 외무장관으로 일했다.

1944년 런던에서 베넬룩스 관세동맹(1948 발효) 형성을 도왔고 1945년 국제연합(UN)헌장을 기초한 뒤 이듬해 UN 총회의 초대 의장이 되었다.

외무장관 임기(1945~47)를 마친 후 기독교사회당-사회당 연립내각(1947~50)의 총리에 취임했으며 여성에게 선거권을 부여하고 중앙은행의 국유화를 단행했다. 1948년 영국, 프랑스, 베넬룩스 3국 사이에 지역방위동맹을 형성하기 위한 브뤼셀 조약에 서명했고 이듬해 이들 국가들이 미국과 연합하여 NATO를 결성하도록 도왔다. 국왕 레오폴 3세의 퇴위(1951)에는 그의 설득이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948~52년 스파크는 유럽 석탄철강공동체(ECSC) 등 유럽의 정치적·경제적 협력을 위한 몇몇 조직에서 의장직을 맡았으며 유럽 공동시장과 유럽 원자력공동체(Euratom)를 탄생시킨 로마 조약(1957. 3)의 협상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54~57년 다시 외무장관으로 재직한 뒤 NATO 사무총장(1957~61)이 되었고 1961~66년 테오 르페브르 연립내각에서 부총리 겸 외무장관을 지냈다.

1966년 개인사업을 위해 정계에서 은퇴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스파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