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스티비츠

다른 표기 언어 George Robert Stibitz
요약 테이블
출생 1904. 4. 30, 미국 펜실베이니아 요크
사망 1993. 1. 31, 뉴햄프셔 하너버
국적 미국

요약 미국의 수학자.

'현대 디지털 컴퓨터의 아버지'로 인정받고 있다.

스티비츠는 1930년에 뉴욕 주 이타카에 있는 코넬대학교에서 수리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벨 연구소에 들어가 1941년까지 그곳에서 일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미국 국방연구위원회에서 일했으며, 군대에서 사용할 더욱 용량이 큰 2진법 컴퓨터를 연구했다.

스티비츠는 뉴욕 시의 벨 전화연구소(지금의 벨 연구소)에서 수학연구원으로 재직하는 동안 전화망에 사용하는 계전기 장치에 관해 연구했다. 당시 그와 동료들은 이 연구에 필요한 복잡한 수학계산을 빨리 처리할 수가 없었다. 스티비츠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집에서 서투른 솜씨로 원시적인 2진법 계산기를 만들어냈다.

그 계산기는 담배깡통에서 잘라낸 금속 띠와 건전지, 그리고 2대의 낡은 전화계전기에 연결한 손전등 전구로 만든 것이었다. 그는 동료 엔지니어인 새뮤얼 윌리엄스와 함께 이 소형 전기장치를 응용해 옷장 크기의 새 장치를 만들었다. '복합계산기 모델 1호'로 명명한 이 장치는 1940년 1월 8일 벨 연구소에서 작동되었다. 이 기계는 1949년까지 사용했으며 디지털 컴퓨터의 원조로 여겨졌다.

뒷날 스티비츠가 만든 최초의 계산기 복제품은 워싱턴 D.C.에 있는 스미스소니언 협회에 전시되었다. 또 1940년에 스티비츠는 뉴햄프셔 하너버에 있는 다트머스대학교에서 인쇄전신기를 이용해 뉴욕에 있는 '벨 연구소 모델 1호'에 해결해야 할 계산문제를 보낸 후 같은 방법으로 답신을 받음으로써, 최초의 원격 컴퓨터 작동이라고 할 수 있는 일을 실현했다.

그는 1964년 다트머스의과대학교 교수가 되어 생리학을 가르치기도 했다. 그곳에서 허파 내의 산소 이동과 신장의 신진대사, 뇌세포 해부, 체내에서 이루어지는 영양소와 약물의 확산작용, 모세혈관의 운반작용과 같은 생의학 분야에서 컴퓨터를 응용하는 방법을 개척했다.

그는 1973년 명예교수가 되었지만, 1980년대까지 계속 다트머스에서 연구활동을 했다. 38개의 특허를 가지고 있기도 한 스티비츠는 1983년에 발명가 명예의 전당에 들어갔으며, 1981년 미국 국립공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임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과학자

과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스티비츠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