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스타티우스

다른 표기 언어 Statius
요약 테이블
출생 45경, 이탈리아 네아폴리스
사망 96, 네아폴리스(?)
국적 로마

요약 로마의 시인.
정식 이름은 Publius Papinius Statius.

라틴 문학의 '백은시대'(18~133)에 활동한 주요한 서사시인·서정시인이었다. 〈숲 Silvae〉이라는 제목의 시집으로 엮어진 그의 행사용 시들은 그 문학적 우수성과는 별도로 도미티아누스 황제 치하의 부유한 상류층의 생활양식을 묘사한 것만으로도 가치 있다.

시인이었던 아버지에게서 어려서부터 시인이 되기 위한 훈련을 받은 것으로 보이나, 생애에 관해서 알려진 바는 별로 없다. 로마에 살았으며 도미티아누스의 궁정시인으로 89년이나 90년에 상을 받았다.

그러나 94년 로마에서 열린 3회 카피톨리누스 대회에서 입상하지 못하자 곧 네아폴리스로 돌아갔다. 궁정시인의 역할에 매우 만족했던 것으로 보이며, 도미티아누스 치하에서 불가피했던 아첨을 거리낌없이, 그리고 어떤 면으로는 자기 성격에 걸맞는 방식으로 구사했다. 재주가 있었으며, 그의 시적 표현은 몇 가지 결함은 있었지만 풍부하고 활기차며 적절하다.

전5권으로 이루어진 〈숲〉이 그의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32편의 시 가운데 5편은 황제와 그 측근에게 아첨하는 것이다. 다른 부류의 시는 친구들의 대저택과 정원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는데, 그 친구들이란 미술품과 골동품을 주위에 쌓아놓고서 시인이 자신들을 추켜세우는 시를 쓰면 그 대가로 그를 후원해주던 돈많고 허세부리는 계층의 사람들이었다. 동짓날에 벌이던 사투르날리아 축제 때 황제가 로마 시민들을 위해 마련한 선물과 갖가지 오락거리를 인상적으로 묘사한 대목도 있고, 시인인 루카누스에게 경의를 표한 생일축하 송시에는 늘 나타나는 과장된 표현과 더불어 뛰어난 문장도 더러 눈에 띄며 선배 라틴 시인들에 대한 감식력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가족간의 애정이나 개인적인 상실을 다룬 시들과 잠들기 위해 읽도록 쓴 시 역시 높이 평가받을 만하다. 전12권으로 이루어진 서사시 〈테바이스 Thebaid〉는 완성했으나 서사시 〈아킬레이스 Achilleid〉는 2권밖에 쓰지 못했다. 보다 야심에 찬 작품인 〈테바이스〉는 고대 그리스 도시 테베의 왕위를 놓고 폴리네이케스와 에테오클레스 형제가 벌이는 싸움을 그리고 있다. 베르길리우스에게 빌어온 부분이 많지만, 허풍과 과장이 작품의 질을 떨어뜨리고 있다. 그러나 처음과 마지막 대목들은 극적 긴장감과 상당한 비극적 힘을 지닌 분위기를 전달한다. 〈아킬레이스〉는 아킬레스가 어려서 받은 교육을 재미있게 설명하고 있으나, 오디세우스가 그를 트로이로 데려가는 대목에 이르러 스타티우스가 죽는 바람에 중단되고 말았다. 스타티우스의 작품은 J. H. 모즐리의 영역본(2권, 1928)으로 로브 고전문고에 들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스타티우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