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스타이츠

다른 표기 언어 Thomas Steitz

요약 2009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생물리학자이자 생화학자. 리보솜이라 불리는 세포입자의 구조와 기능을 원자 수준에서 밝혀낸 연구에 대한 공로로 인도 출신 미국의 물리학자이자 분자생물학자인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 이스라엘의 단백질 결정학자인 아다 요나트와 함께 2009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미국의 생물리학·생화학자. 리보솜이라 불리는 세포입자의 구조와 기능을 원자 수준에서 밝혀낸 연구에 대한 공로로 인도 출신 미국의 물리학자이자 분자생물학자인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 이스라엘의 단백질 결정학자인 아다 요나트와 함께 2009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리보솜은 RNA와 단백질로 이루어진 복합체로서 세포질 속에서 단백질을 합성하는 역할을 하고, 세포 안에서 소포체에 결합되거나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타이츠는 1962년 미국 위스콘신 주에 있는 로렌스대학에서 화학 학사학위를 받았고, 1966년 매사추세츠 주에 있는 하버드대학교에서 분자생물학 및 생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학교 화학과에서 1년의 박사후 과정을 거친 후에,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영국의학연구협회 분자생물학연구소에 들어갔다. 그는 1970년까지 케임브리지에 있었고, 그 해에 코네티컷 주 뉴헤이번에 있는 예일대학교의 화학 교수가 되었다.

스타이츠는 X선 결정학이라 부르는 기술을 이용하여 핵산과 단백질을 포함한 다양한 고분자세포의 구조를 연구했다. 그는 특히 리보솜의 역할과 기능 연구의 바탕이 되는 리보솜 구조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스타이츠는 9Å(옹스트롬 : 1cm의 1억 분의 1 혹은 0.1나노미터에 해당)의 해상도에서 고세균('고균'이라고도 함) 할로아르쿨라 마리스모르투이(Haloarcula marismortui) 리보솜의 큰 소단위체(50S) 구조를 밝혀냈다.

할로아르쿨라 마리스모르투이는 원시 단일 세포기관을 가진 미생물이다. 덧붙여 그는 5Å 해상도에서 할로아르쿨라 마리스모르투이의 50S 리보솜 소단위체에 대한 지도를 만들었다. 그는 이 지도에서 소단위체 안에서의 단백질과 RNA의 위치를 밝혔다. 그리고 나중에 2.45Å 고해상도에서 50S 소단위체의 완벽한 구조를 밝혀냈다.

스타이츠는 또한 X선 결정학을 이용하여 유전자 발현, DNA 복제, 유전적 재조합, 전사, 번역의 과정에 대한 원자적 수준의 특징들을 연구했다. 2000년 스타이츠는 새로운 항생물질들에 대한 개발 및 발견을 전문으로 하는 립엑스제약회사를 공동 설립하고 그 회사의 과학자문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

스타이츠는 1986년 하워드 휴스 의학연구소 연구위원이 되었고, 1990년 미국 국립과학원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2001년 기초의학에서의 뛰어난 업적에 대해 수여하는 루이스 로젠스틸 상을 수상했다. 2006년에 게이오 의학과학상을, 2007년에 게어드너 국제상을 수상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과학자

과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스타이츠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