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위치 | 인도네시아 중부 셀레베스 섬 중부 |
---|---|
인구 | 9,463,385명 (2024년 추계) |
면적 | 45,764.53㎢ |
언어 | 인도네시아어 |
대륙 | 아시아 |
국가 | 인도네시아 |
요약
인도네시아 셀레베스 섬의 중부에서 남서부에 걸쳐 있는 주. (영). South Celebes. 주요도시로는 우중판당(주도)·마제네·마칼레·팔로포·파레파레·싱캉·와탐포네(보네)가 손꼽힌다. 주민은 대부분 부긴족과 마카사르족으로 이루어져 있다. 쌀, 옥수수, 코프라, 커피, 향료, 식물성 기름, 티크, 등(籐), 사탕수수, 콩, 고구마 등이 재배되며 정미업을 비롯한 공업부문에서는 시멘트, 음료, 화학제품, 고무제품, 가공커피, 야자유, 의류, 종이, 금속제품, 목각품, 돗자리, 바구니 등을 생산한다.
남쪽으로는 플로레스 해에 면해 있으며 서쪽은 마카사르 해협, 동쪽은 보네 만, 북쪽은 술라웨시텡가(중앙 셀레베스) 주, 북동쪽은 술라웨시텡가라(남동셀레베스) 주와 접한다. 남쪽으로 플로레스 해에 있는 셀라야르·탐볼롱강·칼라오·타나잠페아(바투)·보네라테 섬들을 포함한다.
16세기 이슬람교가 들어오기 전에는 이 지역에 수많은 작은 국가들이 난립하고 있었다. 이 국가들은 혈연관계에 있는 두 인종집단인 마카사르족과 부긴족 중 어느 하나에 속해 있었다. 1530년경 마카사르족의 고와국(國)이 가장 강력한 국가로 부상하면서, 1605년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 1609년 네덜란드인들이 마카사르(지금의 우중판당)에 교역소를 설치했으며 이로 인해 고와와 전쟁이 벌어졌다. 네덜란드인들은 부긴족 국가인 보네(지금의 와탐포네) 왕 아룽 팔라카와 동맹을 맺었으며 1667년 고와 왕을 패배시킴으로써 위치를 확고히 했다. 18세기(1700경~65) 부긴족 워조 왕가의 후손 아룽 싱캉이 왕위에 오른 후에도 마카사르족과의 전쟁은 계속되었다. 1675년 마카사르족은 자바 동부의 마타람 왕국을 공격했으며 네덜란드인들은 마타람 군주 아망쿠라트 1세를 지원했다. 1779년 마카사르족은 마침내 자바 동부에서 쫓겨났다.
나폴레옹 전쟁중에 영국군이 셀레베스 남서부지역을 점령하여(1810~16), 1814, 1816년에 마카사르족의 공격을 받았다. 1817년 셀레베스가 네덜란드에 귀속된 후에도 셀레베스 남부의 일부 국가들은 네덜란드의 종주권을 인정하지 않았다. 보네국이 네덜란드와 마카사르 연합군에게 패배한 1825년 '자바 전쟁'이 시작되었으며 셀레베스 남부 마카사르 국을 비롯해서 인도네시아 곳곳에서 잇따라 반란이 일어났다. 1858~60년 네덜란드군이 마침내 승리를 거두고 인도네시아 전역을 지배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중에는 일본군에게 셀레베스 섬이 점령되었다. 셀레베스 남부의 국가들은 1945년 새로 선포된 인도네시아 공화국을 지지했다. 한편 네덜란드는 1945년에 새로 동인도네시아를 세웠으며 여기에 셀레베스를 포함시켰다. 1950년 마카사르에서 네덜란드군과 공화국군 사이에 충돌이 일어났으며 네덜란드군이 패배함으로써 셀레베스 섬은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정상에 화구구들이 있고 중간지역이 템페 호수 유역으로 끊긴 남북방향의 산맥이 술라웨시셀라탄 주 전장에 걸쳐 있다. 이 산맥의 북부에서부터 티네바 산맥과 타콜레카주 산맥이 서로 나란히 뻗어 주의 북반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두 산맥 사이에 측면이 가파른 열곡(裂谷)들이 있다. 셀레베스 군도의 최고봉은 술라웨시셀라탄 주 북부의 란테콤볼라 산으로 높이가 3,455m에 이른다. 북부의 산맥은 남쪽 끝 템페 호 남부로 가면서 너비가 좁아진다. 왈라나에·사당·카라마·코보·칼라에나·콜라두·콩콩 강 등 여러 강들이 산맥의 서쪽 사면이나 동쪽 사면을 흘러내려 좁은 해안저지를 가로질러 흐른다. 산들은 티크, 오크나무, 벵골보리수, 경질재 수목, 소나무로 이루어진 적도 밀림으로 덮여 있는데 고도가 높아질수록 밀림이 성글어진다. 하천들 가장자리에는 대상림(帶狀林)이 펼쳐져 있다.
주된 생계수단은 농업과 심해어업이다. 쌀, 옥수수, 코프라, 커피, 향료, 식물성 기름, 티크, 등(籐), 사탕수수, 콩, 고구마 등이 재배되며 정미업을 비롯한 공업부문에서는 시멘트, 음료, 화학제품, 고무제품, 가공커피, 야자유, 의류, 종이, 금속제품, 목각품, 돗자리, 바구니 등을 생산한다. 광업으로는 은·주석·니켈·철광석이 채광된다. 도로들이 서해안 및 동해안과 거의 평행을 이루며 뻗어 있다.
주요도시로는 우중판당(주도)·마제네·마칼레·팔로포·파레파레·싱캉·와탐포네(보네)가 손꼽힌다. 주민은 대부분 부긴족과 마카사르족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