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개요
오염에 대한 지표는 수질상태와 함께 오염발생원과 그 영향에 대한 관계를 규정하는 역할을 한다.
대용지표·간접지표·잠재오염도 등도 함께 사용한다. 지표값은 일반적으로 ppm(mg/ℓ)·ppb(㎍/ℓ) 등의 농도를 사용한다.
물리·화학적 지표
부유물질(SS)
SS는 공정시험법이 정한 여과지를 통과시킨 후 남은 물질을 건조시켜 측정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물의 탁도를 결정한다.
맑은 하천의 경우 25ppm, 호소의 경우 1ppm이면 투명도가 1m 정도이다.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수중에 서식하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소비되는 용존산소의 양으로 원래는 수계의 산소부족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였지만 현재는 생물학적으로 분해가능한 유기물의 농도에 대한 간접지표로 수질기준을 나타내는 데 많이 사용된다.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수중에 있는 모든 유기물이 산화되는 데 필요한 산소요구량을 나타내며, 과망간산칼륨(KMnO4)·중크롬산칼륨(K2Cr2O7)에 의해 산화되는 물질의 양으로 표시한다.
이는 생화학적 산소요구량에서 나타나는 생물학적으로 분해가능한 유기물을 포함해서 미생물 자체의 양과 분해가 되지 않는 유기물을 함께 측정하게 되므로 수질에 대한 유기오염의 지표가 된다.
생물학적 지표
대장균군
대장균군은 자체적으로는 별로 해가 없으나 분뇨에 생존하는 병원성미생물 보다 저항력이 강하기 때문에 수인성전염병의 지표세균으로 사용된다.
음용수에서는 대장균이 100/㎖ 이하여야 한다.
반수치사농도(半數致死濃度 : LC50)
수생생물에 대한 급성독성의 측정에 사용하는 지표로 특정한 물질이 24(48, 72)시간 경과 후 반수가 살아남는 농도를 말하는데 중금속과 화학물질 등의 복합영향도 조사할 수 있다.
생물학적 오염도(BIP)
단세포생물 중 엽록체가 없는 생물군의 백분율이며, 맑고 깨끗한 물일수록 적고 오염이 심한 물에서는 100%가 된다.
생물학적 수질계급
수역의 생물상에 따라 수질을 강부수성(强腐水性 : 윤충)·α중부수성(中腐水性 : 탁류에 서식하는 잉어와 붕어 같은 어류)·β중부수성(대부분의 어류와 곤충)·빈부수성(貧腐水性 : 맑은 물에서 서식하는 어류 및 수생생물)으로 분류한다.
부영양화 지표
호소·댐 등의 부영양화는 1차적으로 식물성 플랑크톤(藻類)의 증식으로 나타나며 호소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질소(N)와 인(P)이 증식에 중요한 제한요소가 되므로 가장 많이 적용되는 부영양화 지표가 된다.
일반적으로 질소 0.2ppm 이상, 인 0.015ppm 이상이 부영양화의 기준으로 적용되고 있다. 또한 조류에 반드시 함유되어 있는 엽록소 a를 측정하여 10ppb(㎍/ℓ) 이상이면 부영양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판정한다.
미량원소오염 지표
물리적·화학적 지표나 생물학적 지표는 간접적인 것일 경우가 많으므로, 독성물질의 경우 매우 낮은 농도를 나타낸다고 해도 그 물질농도를 직접 정량해야 한다.
이러한 물질은 무기물과 유기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무기물은 다시 중금속류와 비금속류로 분류할 수 있다. 중금속류에서 중요한 종류는 구리·아연·수은·카드뮴·납·크롬·망간 등으로 광산폐수와 업종별 공장폐수나 중금속을 포함한 공장폐수에 포함되어 있다. 비금속류에는 시안·비소·플루오르가 중요하며, 광산이나 공장에서 배출된다. 유기물은 인간이나 생물에 급·만성 중독을 일으키거나 발암성·변이원성이 의문시되는 다양한 유기화합물이 오염지표화되어 있다.
유기인·PCB·계면활성제·THM 등 유기 할로겐 화합물이 대표적인 물질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