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송광사금동요령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송광사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시대의 금강령.

보물 제176호. 높이 20.6cm, 지름 6.6cm. 현재 고부는 완전히 결실된 상태로 손잡이 중간에는 둥근 마디가 있고 그 위와 아래로 사격자무늬[斜格字紋]가 장식되어 있다. 손잡이와 몸체를 연결하는 부분에 보수한 흔적이 남아 있다. 몸체는 어깨에서부터 반구형으로 내려오다가 구연에서 모서리를 이루고 있으며, 각 모서리의 중간은 반원형으로 파낸 것이 특징이다.

몸체부분은 연주무늬로 둘러싸인 구획선에 의해 4면으로 구분되었는데, 각 면에는 구름무늬 사이로 용이 1마리씩 새겨져 있다. 용은 위로 향하여 힘차게 뻗어 있는 다리나 S자형으로 된 몸체의 표현에서 생동감이 느껴진다. 이들 용 위로는 도안화된 연꽃과 당초무늬 줄기를 표현했는데 그 끝이 안으로 말려 있어 부드러운 편이다.

금강령은 형태와 도상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중국이나 일본의 예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함을 지니고 있으며 부드럽고 세련된 조각기법으로 보아 더 이전 시대의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전체적인 형태나 세부표현에 나타나는 요소들은 이미 형식화된 것이므로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송광사금동요령

전남 순천시 송광면 조계산 송광사 박물관에 소장된 금동요령(보물 제176호)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전라남도

전라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송광사금동요령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