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904. 12. 6, 충북 청원 |
---|---|
국적 | 한국 |
요약 프랑스 문학자·문학평론가. 평론 〈하늘과 땅의 비중〉(사상계, 1960. 2)은 김동리의 〈사반의 십자가〉에 대한 본격적 비평으로 유명하다.
〈해외문학〉 창간 동인이며 주로 프랑스 문학을 연구·소개했다. 일본 호세이대학[法政大9] 불문과 재학시절에 이하윤·김진섭·정인섭 등과 함께 '해외문학연구회'에 참가했으며 1928년에 졸업했다. 그해 도쿄[東京]에 있는 아테네 프랑세에서 5년 동안 프랑스 문학을 공부했고, 1945년 전매국에서 일하다가 청주사범학교에서 근무했다.
1947년 성균관대학교 교수로 취임했으며 동시에 서울대학교 문리대 강사를 겸임하여 우리나라 최초로 프랑스 문학을 강의했다. 1965년 성균관대학교 문리대학장을 지냈으며 1970년 정년퇴임했다. 1981년 대한민국 학술원 원로회원이 되었다. 1927년 〈해외문학〉 창간호에 '노재비'라는 필명으로 프랑스의 시인 뮈세의 시를 소개했으며, 8·15해방 후에는 상징주의·실존주의 등의 외국문학사조를 비판하는 평론을 발표했다.
평론 〈하늘과 땅의 비중〉(사상계, 1960. 2)은 김동리의 〈사반의 십자가〉에 대한 본격적 비평으로 유명하다. 단행본으로 〈비(非)정통 사상〉·〈의욕의 장원〉 등과 몽테뉴의 〈수상록〉, 사르트르의 〈존재와 무〉 등의 번역서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