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중세 프로방스인들과 이탈리아인 또는 현대 시인들도 가끔 사용하는 정교한 운문 형식.
원래 중세기에 씌어진 순수한 형태의 경우에는 각각 6행으로 된 6연(聯)의 무운시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에서 세스티나라는 이름이 붙여졌다(sesto, 즉 '제6'에서 유래).
제1연의 마지막 낱말들이 나머지 5연에서 각각 다른 순서로 나타나는데, 프로방스인들이 사용했던 순서는 abcdef, faebdc, cfdabe, ecbfad, deacfb, bdfeca였다. 이어서 3행의 연이 나오는데, 이 연에서는 6개의 주요낱말들이 행 중간과 끝에서 반복되면서 시를 요약하거나 그 시를 누군가에게 바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세스티나는 프로방스의 음유시인 아르노 다니엘이 처음 창안했으며 이탈리아에서는 단테와 페트라르카가 이 형태로 시를 썼으나 그뒤 사용되지 않다가 16세기에 와서 프랑스의 7명의 시인들인 플레야드파(派), 특히 퐁튀스 드 티야르가 사용하면서 다시 주목을 받게 되었다. 19세기에는 그라몽 백작인 페르디낭이 세스티나 형식으로 많은 작품을 썼으며, 앨저넌 찰스 스윈번이 지은 〈리사의 불평 Complaint of Lisa〉은 각각 12행의 12연으로 이루어진 이중 세스티나로, 걸작으로 꼽힌다.
20세기에는 에즈라 파운드, T.S.엘리엇, W. H. 오든이 세스티나 형식으로 된 주목할 만한 작품들을 썼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시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