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내세가 아닌 현세의 삶을 지향하는 사회운동.
중세시대에는 신앙이 깊은 사람들이 인간사를 얕보고 신과 내세만을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다. 이런 경향에 대한 반동으로 르네상스 시대에 휴머니즘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세속주의가 나타났으며 이때부터 사람들은 인간의 문화적 성취와 자기 실현의 가능성에 대해 더욱 많은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세속주의 운동은 근대사 전체를 통해서 계속 발전해왔으며, 보통 반그리스도교적이거나 반종교적 성향을 띤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20세기 후반이 되자 일부 신학자들은 세속적인 그리스도교를 옹호하기 시작했고, 그리스도교는 신성한 것과 내세에 대한 일에만 관심을 쏟아서는 안 되며 인간은 그리스도교적 가치를 살려낼 기회를 이 세상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신학자들은 예수의 가르침이 지닌 참된 뜻은 세속적인 도시생활의 일상사에서 발견할 수 있고, 또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사회
사회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