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목판본. 〈월인석보 月印釋譜〉에 실린 독립 작품이므로 15세기에 찬역되었다고 볼 수 있다.
선우태자는 바라나 국왕과 제일부인이 기도하여 얻은 아들이다. 그는 백성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국고를 풀었다가 국고가 탕진되자 여의주를 얻으러 떠난다.
눈먼 도사의 도움을 받아 천신만고 끝에 여의주를 얻었으나 동생 악우에게 두 눈을 찔리고 여의주를 뺏긴다. 그는 눈이 멀어 방황하다가 우연히 약혼녀의 나라에 찾아가 서로 약혼한 사이인 줄도 모르고 공주와 혼인하고 눈도 다시 뜨게 된다. 본국에 돌아간 선우태자는, 자기에게서 뺏은 여의주로 공을 세우고 대권을 잡으려다 옥에 갇힌 악우를 풀어주고, 여의주를 찾아 자기를 기다리다 눈이 먼 부모의 눈을 고쳐준다. 또한 모든 중생에게도 마음껏 보시하고 극락을 누리게 한다.
이 작품은 원래 〈보은경〉 악우품에 있던 것이 〈석보상절〉·〈월인석보〉에 편입·번안되면서 국문소설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불교 경전에 근거를 둔 포교문학이지만 불교의 냄새를 풍기지 않는 창작소설이다. 15세기 국문소설의 시대를 여는 데 주된 역할을 했다. 널리 알려진 고전소설 〈적성의전 翟成義傳〉은 이 작품에 바탕을 두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소설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