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문항과 그에 따르는 2개 이상의 답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검사 종류.
문장은 대개 의문문이거나 불완전 문장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선다형은 선택형 문항의 다른 형식에 비해 내재적인 결점이 적기 때문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아울러 여러 가지 문제상태, 목적, 내용을 다룰 수 있는 다의성, 포괄성이 있고 수험자의 우연적 오차의 영향도 적게 받기 때문에 문항형식으로서는 가장 적절하다.
그러나 다른 형식에 비해 좋은 문항을 제작하는 데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선다형 검사에는 최선답형, 정답형, 불완전 문장형, 다답형, 합답형(合答型), 부정형(不定型) 및 포함-제외형 등이 있다. 최선답형은 여러 가지 답지 중에서 가장 맞는 답, 정답의 정도가 가장 큰 것을 택하게 하는 방법이다. 정답형은 여러 개의 답지 중에 1개만이 정답이고 다른 것은 전혀 관계없는 오답(誤答)으로 되어 있는 형식이다.
불완전 문장형은 문항의 진술문이 직접적인 질문이 아니고 일부분이 비어 있는 불완전 문장으로 되어 있는데, 불완전한 곳에 채워야 할 정답을 답지에서 찾는 방법이다. 다답형 문항은 답지에 정답이 여러 개인 형식이다. 합답형은 여러 개의 답지 중에서 1개 또는 2개 이상이 합해서 정답이 되는 형식이다. 부정형은 답지 중 1개는 위(僞)인 항목을 주고 그것을 선택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 형식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부정적 표현의 어구에 밑줄을 긋거나 다른 방법으로 주의를 환기시켜야 한다. 포함-제외형은 제시한 답지 중에서 다른 것과 이질적(異質的)인 것을 고르게 하는 방법이다.
선다형 검사의 장점은, 첫째, 문항형식이 갖는 융통성과 신축성이 크다. 둘째, 채점이 쉽고 객관적·기계적으로 할 수 있어 객관성·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문항의 답지를 조금만 수정해도 쉽게 원하는 문항의 난이도를 얻을 수 있다.
넷째, 5선택형에 비해 추측의 요인이 적게 작용하며, 답지를 5개 정도로 하면 추측에 의한 요인은 거의 무시할 수 있다. 다섯째, 답지의 반응에 나타나는 학생의 반응 형태에 의해 중요한 진단적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반해 선다형이 갖는 단점은 첫째, 다른 선택형에 비해 문항만들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둘째, 선다형 문항의 장점을 살린 문항보다는 진위형(眞僞型)으로 물어도 좋은 단순한 지식, 기억, 정보의 확인을 위한 지식 위주의 문항을 만드는 결함이 생긴다. 셋째, 학생이 선택형 문항에 반응할 때에 불필요한 시간·노력이 요구된다. 이같은 현상이 선다형에 대한 혐오감, 기피심리를 유발하기도 한다. 넷째, 몇몇의 연구에 의하면 선다형은 능력이 높은 학생에게 불리하고 능력이 낮은 학생에게 유리하다는 점 등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심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