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서해대교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총연장 7,310m로 1993년 착공되어 2000년 12월 15일 개통되었다. 65m/sec의 강풍과 리히터 규모 6의 강진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해수로 인한 부식 방지를 위해 내염 시멘트 및 에폭시 코팅 철근을 사용하였다.
사장교와 FCM교(장경간 콘크리트 상자형교), PSM교(연속 콘크리트 상자형교) 등 3가지 다리 형식이 복합적으로 사용되었고 국내 최초로 가물막이 공법으로 건설되었으며 사장교 주탑의 외형은 아산시의 보물 제537호인 당간지주의 형상을 빌어 지역적 상징성을 강조하였다.
서해대교는 서해안시대 국가공단 물동량의 원활한 수송을 가능하게 해주어 서해교역의 관문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총연장 7,310m, 교폭 31.41m인 왕복 6차선 도로교 이다. 1993년 11월 4일 착공되어 2000년 12월 15일 개통되었다. 풍속 65m/sec의 강풍과 리히터 규모 6의 강진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해수로 인한 부식에 대비하여 내염 시멘트 및 에폭시 코팅 철근을 사용하였다. 또한 서해대교에는 사장교와 FCM교(장경간 콘크리트 상자형교), PSM교(연속 콘크리트 상자형교) 등 3가지 다리 형식이 복합적으로 사용되었다.

사장교는 첨탑에서 늘어뜨린 케이블로 다리 상판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설계된 다리로 교각 사이의 간격을 많이 떨어뜨려야 할 때 주로 사용된다. 서해대교의 사장교는 국내 최대의 규모로, 주탑 높이가 182m, 다리 사이의 간격이 470m에 달해 이 다리 밑으로 5만 톤급의 선박이 왕래할 수 있다. 사장교는 국내 최초로 가물막이 공법으로 건설되었는데, 육상에서 대형 원통을 조립한 뒤 해상으로 운반하여 설치하고 그 내부에 모래를 채워 가물막이를 형성한 후 해수를 퍼내고 암반층까지 굴착하여 주탑의 기초 콘크리트를 형성하였다. 사장교 주탑의 외형은 충청남도 아산시 읍내리에 있는 보물 제537호인 당간지주의 형상을 빌어 지역적 상징성을 강조하였다.

PSM교는 일정한 길이로 미리 만들어진 콘크리트 상판을 차례로 얹어 잇는 것으로, 경간 길이가 60m이다. 시점인 포승면 내기리에서부터 2,340m, 중앙해상부분(축도부) 780m, FCM교가 끝나는 지점부터 종점인 당진까지 2,700m 구간을 PSM교를 채택하였다. 다리의 총길이 중 사장교는 990m이고, PSM교 5,820m, FCM교 500m이다.

서해대교는 이렇듯 여러 가지 첨단 공법이 도입되어 건설된 교량으로, 국내 건설기술 수준을 한층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서해대교는 서해안시대 국가공단 물동량의 원활한 수송을 가능하게 해주어 서해교역의 관문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한편 수도권과 남부지역을 오가는 차량의 소통을 분산시켜 교통체증 해소에도 기여하고 있다.

서해대교

ⓒ pixabay | Public Domain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충청남도

충청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3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서해대교
다른 백과사전

서울 경기 여행지

추천항목


[Daum백과] 서해대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