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사회나 종교에서 일상적으로 요구하는 정도를 넘어선 특별한 의무에 자기자신이나 가족 또는 지역사회의 구성원을 바치겠다는 뜻으로 자발적으로 행하는 성스러운 약속.
고대 중동지역에서 사람들은 종종 신의 은총에 대한 보답으로 어떤 행위를 취하거나 또는 어떤 식으로 살아갈 것인지에 대해 서원을 했다.
예를 들면 〈구약성서〉에서 사무엘 선지자의 어머니 한나는 이스라엘의 하느님 여호와가 아들을 주신다면, 그 아들을 기꺼이 하느님을 섬기는 일에 바치겠다고 서원했다. 그녀는 아들을 낳았고 그 서원을 지켰다. 그러나 여호와를 섬기는 일에 헌신하고자 서원했던 사람들이 일정한 액수의 돈을 지불함으로써 그 서원에서 자유로워질 수도 있었다.
고대 로마의 종교는 국가의 이름으로 신에게 서원하도록 했으며, 서원자는 그 서원을 다 이룰 때까지 신에게 빚을 지는 것으로 여겼다. 전쟁중에는 전쟁을 도와주는 대가로 전쟁의 신 마르스에게 수많은 동물을 산 제물로 바칠 것을 서원했다. 바이킹족은 신에 대한 서원을 종종 일종의 기도라고 생각하고 신성불가침한 것으로 여겼기 때문에 서원을 어긴 사람들은 그들의 사회로부터 추방당했다.
힌두교·불교·자이나교에서의 서원은 성직자뿐만 아니라 일반 평신도 사이에서도 매우 흔하다.
헌신을의미하는 박티(bhakti) 운동에 참여하는 힌두교 신자들은 종종 그들의 신에게 특별한 신앙을 보여주는 서원을 한다(박티). 또한 힌두교 신자들은 개별적으로 특정한 날에 특별단식을 행하거나 헌물을 바칠 것을 성직자와 신에게 서원하기도 한다.
불가의 법도를 따르는 불교의 승려들은 살생·사음(邪淫)·망어(妄語) 등을 금하는 십계(十戒)를 지킬 것을 서약한다(승가). 불교의 남녀 평신도들도 일생 동안 혹은 어떤 일정 기간에 승려들이 서약하는 내용의 일부를 따르고 지킨다. 대승불교의 승려들은 때때로 보살의 서원을 받아들이는데, 이 보살의 서원은 아주 엄격해 깨달음에 이르는 개인의 역량뿐만 아니라, 어떤 몸가짐이나 능력을 예비조건으로 요구한다.
자이나교의 승려들은 BC 6세기에 그들 종교의 개혁자인 마하비라가 정한 대로 살생하지 말 것, 거짓말하지 말 것, 남의 것을 탐하지 말 것, 성적 쾌락을 추구하지 말 것, 모든 집착에서 벗어날 것 등의 5가지 서약을 따른다.
유대교·그리스도교·이슬람교에서는 성직자 계층 뿐만 아니라 평신도 사이에서도 서원이 행해진다. 히브리어로 네데르(nedarim)라고 하는 유대교의 서원에는 적극적인 것과 소극적인 것이 있다.
적극적인 서원은 법이 요구하지 않지만 하느님께 영광이 되는 어떤 일을 하거나 예물을 봉헌하고자 하는 자발적인 서약이다. 이에 비해 히브리어로 이사(issar)라고 하는 소극적인 서원은 스스로 합법적인 쾌락을 자제하거나 금하는 자발적인 서약을 말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유대교에서는 마지막 수단으로 서원을 할 뿐 〈탈무드〉의 랍비들조차도 서원을 권장하지 않는다.
로마 가톨릭의 종교의식에서는 대개 가난·순결·순종 등 3가지 맹세를 하도록 하며 어떤 경우에는 수도원에 머물 것을 서약하는 정주서원(定住誓願)이 부가되기도 한다. 개신교에서는 신앙고백식, 성직 서임식, 결혼식 등과 같은 종교적 의식에서 서원을 한다.
병을 치유하는 능력이나 영적 권능으로 존경받는 회교 성직자들은 때때로 신자들로부터 간청을 받는데, 이때 그 신자들은 특별한 도움에 대한 대가로 갖가지 서원을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종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