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서우사범학교

다른 표기 언어 西友師範學校

요약 1907년 서울에 설립된 초등교원양성기관.

1906년 평안남북도와 황해도 출신의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설립된 애국계몽단체인 서우학회(西友學會)가 민력양성(民力養成)을 통한 국권회복과 인권의 신장을 위해 교육진흥운동을 벌이면서 설립한 학교이다.

서우학회의 주요사업으로 교육구국활동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신교육을 받고 이를 교육할 수 있는 유능한 교원을 양성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보고, 이들 교원의 양성을 위해 서우사범학교라는 사범속성과 야학교를 설립했다. 1907년 11월 서우학교로 개편했고, 1908년 1월 서우학회와 한북흥학회(漢北興學會)가 통합되어 서북학회가 조직되면서 서우학교도 한북흥학회의 함경도 출신 애국지사들이 설립한 한북의숙(漢北義塾)과 통합하여 서북협성학교(西北協成學校)로 개칭, 서북협성학교의 1년제 사범속성과가 되었다.

서북협성학교는 일제의 감시와 탄압 속에서 1910년 오성학교(五星學校)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1918년 강제 폐교되었으나 1921년 오성강습소로 다시 개교, 1922년 협성학교로 재건되었다. 이후 일제의 계속적인 탄압으로 여러 번 난관에 봉착했으나 그때마다 학교이름을 바꾸어가면서 학교를 계속 유지해나갔다. 8·15해방이 되어 1947년 광신상업중학교로 개편되었다가 1951년 신교육법에 의해 광신중학교와 광신상업고등학교로 분리 개편되어 1992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서우사범학교의 초대 교장에 박은식이, 교감에는 김달하가 취임했고, 교사로는 주시경 등이 있었다. 수업연한은 1년이었고, 산술·지리·역사·법률·교육학·물리학·영어·일어·작문 등의 교과목이 있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서우사범학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