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서애집

다른 표기 언어 西厓集

요약 조선 중기의 문신 유성룡(柳成龍:1542~1607)의 시문집.

27권 14책. 목판본. 1633년(인조 11)에 아들 진(袗)이 합천군수로 있으면서 20권 10책으로 간행했고, 이후 4권 2책으로 별집이 간행되었다.

최종본은 이것과 연보 3권까지 합한 것인데, 편찬경위는 알 수 없다. 초간본의 서문은 이민구(李敏求), 발문은 이준(李埈)·장현광(張顯光)이 썼다. 권1·2는 시, 권3은 주문(奏文)과 소(疏), 권4는 소, 권5는 차(箚), 권6은 서장(書狀), 권7·8은 계사(啓辭), 권9는 정문(呈文), 권10~12는 서(書), 권13~16은 잡저, 이하는 서(序)·발(跋)·행장·제문 등이다. 별집도 시·소차·서(書)·잡저·제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임진왜란 때 시문이 많이 분실되어 주로 임진왜란 동안에 쓴 글로 각종 정책과 사건에 관한 글에는 구체적인 사건과 예까지 들어가며 자세하게 서술한 것이 많아 이 시기의 상황과 정책에 관해 풍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주문은 명나라에 보낸 것으로 조선과 일본이 결탁하여 명을 침공하려 한다는 무고에 대해 해명한 글이 있다. 〈회재변명소 晦齋辨明疏〉는 선조가 양명학에 관심을 두는 것을 비판한 상소이다. 임진왜란 때의 정책을 논한 내용은 계와 서장에 많다.

군량대책, 방어전략, 군사훈련책, 성의 보수, 공명고신첩(空名告身帖)과 공사천의 면천을 포함한 전공(戰功) 포상책, 각지의 인재발굴 대책, 의병 등 다양한 내용들이 기술되어 있다. 특히 〈청광취인재계 請廣取人才啓〉에서는 서얼·노비·승려를 통틀어 필요한 인재를 구할 것을 건의하고, 인재를 분류하는 10조를 제시했다. 서(書)는 주로 주변 인물 및 명나라 장수들과 교류한 것으로 당시의 대명관계, 정치적 상황을 잘 보여준다. 잡저에 수록한 글들은 크게 3가지 내용으로 구성된다.

첫째, 국가정책·군사전략에 관한 글들이다. 〈전수기의십조 戰守機宜十條〉는 군사전략에 관한 글을 10항목으로 나누어 서술한 글인데, 임진왜란 전에 비변사에 재임하면서 작성했던 것을 임란 때의 경험을 토대로 수정한 글이다. 지형정찰, 공격과 수비, 방책 참호설치 등을 조선군과 일본군의 특성, 무장상태까지 고려하여 사실적으로 정리했다. 이중 속오법(束伍法)에서는 〈기효신서 紀效新書〉의 속오법을 찬양하고 있다. 〈북변헌책의 北變獻策議〉는 1583년(선조 16) 여진족 추장 오을지(迂乙知)가 경원부 아산(阿山)·안원(安原) 등지를 침입하자 대여진정책과 여진과의 전쟁에서의 용병법, 양곡수송 문제에 대해 서술한 것이다.

이외에도 〈공물작미의〉는 공물작미법(貢物作米法)에 관한 기록이며, 〈중강개시 中江開市〉는 전쟁 때 구휼책(救恤策)으로 시행한 중강개시의 시행경위와 효과를 기술한 것이다. 〈산성설 山城說〉은 산성의 축조와 효용에 관한 것인데, 우리나라 성의 장단점을 전시의 실례를 들어가며 설명한 흥미있는 기술이다.

둘째, 성리학과 양명학에 대한 글들이다. 대부분 짧은 글이지만 양명학을 비판한 글들이 많아 당시 양명학의 유입정도와 성리학자의 대응태도를 잘 보여준다. 셋째, 임진왜란중의 주요사건을 기록한 글이다. 사건기록으로는 남원성 함락사건의 경위, 중국사신 접대 문제, 훈련도감 설치 경위에 관한 기록이 있다. 그밖에 〈기문 記聞〉·〈기관왕묘 記關王廟〉 등 임진왜란 당시의 일화 무용담을 기록한 글도 있다.

특기사항에 해당하는 글은 다음과 같다. 〈기조총제조사 記鳥銃製造事〉·〈기화포지시 記火砲之始〉는 조총과 화포의 연혁을 적고 제조법의 정리·전수를 당부한 글이다. 〈왜지용병 倭知用兵〉은 일본군의 진법에 관한 글로 일본군은 반드시 5진으로 나누어 후방의 군을 좌우로 벌려 아군을 포위하는데, 우리나라 장수들은 종전까지도 이 사실을 모르고 병력을 한곳에 집중시켰다가 포위된 줄 알고 스스로 동요하여 패배했다는 기록이다.

〈왜선수성 倭善守城〉은 일본군의 축성과 수성법에 관한 것으로 축성법이 중국과 다르고 내부가 복잡하여 공격은 어렵과 방어는 쉽다고 기록했다. 그외에 허난설헌·시우산인(時雨山人) 등 당시의 명인들에 대한 짤막한 기술들도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장서각 등에 소장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서애집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