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문화재 지정 | 1969.09.27 |
---|---|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29호 |
요약 황해도와 평안도 지역에서 부르던 노래. 평안도 민요와 황해도 민요, 잡가 등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서도소리로는 <수심가>와 <난봉가>, <산염불>, <공명가> 등이 있다. 남도소리에 비해 청이 높고 중간 음에서 격렬하게 떨려 하강하는 듯한 선율로 진행되며, 창법은 속청과 본청을 사용하여 부른다. <수심가>와 <관산융마>, <배뱅이굿>이 전수되고 있다.
황해도와 평안도 지역에서 부르던 노래. 크게는 잡가·선소리[立唱]·민요·시창 등을 모두 포함하는데 입창은 <선소리산타령>으로 국가무형문화재 제19호로 지정되면서 나머지 잡가·민요·시창만을 따로 묶어 크게 서도소리라고 하기도 한다.
대표적 서도소리는 다음과 같다. 평안도 민요 <수심가>, <엮음수심가>, <긴아리>, <자진아리>, <안주애원성> 등과 황해도 민요 <긴난봉가>, <자진난봉가>, <병신난봉가>, <사설난봉가>, <산염불>, <자진염불>, <몽금포타령> 등이다. 평안도 민요는 대체로 사설이 길며 장단도 일정치 않고, 황해도 민요는 평안도 민요에 비해 일정한 장단을 가지고 있으며 밝고 서정적이다. 이밖에 앉아서 부르는 소리인 서도잡가에는 <공명가>, <사설공명가>, <초한가>, <제전>, <추풍감별곡> 등이 있다. 긴 사설이 특징이며, 장단은 노래말에 따라 불규칙적이고 끝맺을 때에는 수심가조로 끝나는 것이 공통적이다.
서도소리는 일반적으로 남도소리에 비해 청이 높고 중간 음에서 격렬하게 떨려 하강하는 창법을 써서 탄식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 창법에는 속소리로 당겨서 직선타법으로 잘게 떨며 부르는 속청과, 두성과 뒷덜미로 당겨서 음을 내는 본청을 사용한다. 서도소리에는 예로부터 거친 풍토와 북방 이민족과의 갈등을 감내하며 굳세게 살아온 서도지방 사람들의 생활감정이 담겨있다. 국가무형문화재 제29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기·예능보유자는 이춘목(관산융마, 수심가)·김광숙(관산융마, 수심가)·김경배(배뱅이굿)이다.→서도민요, 서도잡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