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성(姓)의 하나. 문헌상 170여 개의 본관이 전하나, 오늘날 비교적 계통이 자세히 전하는 것은 이천·달성·장성·연산·남평·부여·남양·평당·복흥·의령·황산·염주·군위·가성·봉성·용궁 등 20여 본이다. 서씨의 연원에 대해서는 문헌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기자의 40세손인 준이 위만의 침입을 피하여 서아성(경기도 이천)에 이주해 살았는데 이에 후손들이 그 지명을 따서 서씨라 했다고 전한다. 서씨는 대체로 이천 서씨의 시조인 서신일을 도시조로 삼고 있으며, 이천 이외의 나머지 본관은 이천 서씨에서 분적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의 성씨 및 본관 집계결과에 따르면, 서씨는 성씨 중에서 인구순위 13위이다.
개요
문헌상 170여 개의 본관이 전하나, 오늘날 비교적 계통이 자세히 전하는 것은 이천(利川)·달성·장성(長城)·연산(連山)·남평(南平)·부여·남양·평당(平當)·복흥(福興)·의령(宜寧)·황산(黃山)·염주(鹽州)·군위·가성(佳城)·봉성(峰城)·용궁(龍宮) 등 20여 본이다.
서씨의 연원에 대해서는 문헌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기자의 40세손인 준(準)이 위만의 침입을 피하여 서아성(徐阿城, 지금의 경기도 이천)에 이주해 살았는데 이에 후손들이 그 지명을 따서 서씨라 했다고 전한다. 서씨는 대체로 이천 서씨의 시조인 서신일(徐神逸)을 도시조로 삼고 있으며, 이천 이외의 나머지 본관은 이천 서씨에서 분적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천 서씨
이천 서씨는 신라 개국공신 서두라(徐豆羅)의 후손으로 신라 효공왕 때 아간(阿干)을 지낸 신일을 시조로 삼고 있다. 신일이 신라 말기에 이천 효양산(孝養山) 밑에 은거한 이후로 후손들이 이곳에 모여 살았다고 한다.
달성 서씨
달성 서씨는 이천서씨의 시조인 신일의 후손이라고 전하나 이를 확인할 만한 문헌이 없어 고려시대 군기소윤(軍器少尹)을 지낸 서한(徐閈)을 시조로 하는 소윤공파(少尹公派)와, 고려시대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내고 달성군에 봉해진 서진(徐晉)을 시조로 하는 판도공파(版圖公派)의 두 계통이 있다.
이 두 파는 대구에 세거했으므로 같은 성씨일 것이나 문헌이 없어 분파도 따로 되어 있다. 소윤공파는 시조 이후 기록이 실전되어 7세 익진(益進)부터 대를 잇고 있으며, 판도공파는 7세조를 파조로 하여 현감공파(縣監公派)·학유공파(學諭公派)·판서공파(判書公派)·감찰공파(監察公派) 등으로 분파했다.
부여 서씨
부여 서씨의 시조인 서융(徐隆)은 백제 의자왕의 아들로 나라가 망하자 당나라에 들어갔다가 당 고종으로부터 서씨 성을 하사받았다고 하며 그 후손인 서존(徐存)을 중시조(中始祖)각주1) 로 하거나 혹은 서존의 후손인 서수손(徐秀孫)을 중시조로 삼아 세계(世系)각주2) 를 이어오고 있다.
현황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의 성씨 및 본관 집계결과에 따르면, 인구수 75만 1,704명으로 성씨 중에서 인구순위 13위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성씨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