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생산비

다른 표기 언어 cost of production , 生産費

요약 재화·용역의 생산에 소용되는 비용.

생산비

ⓒ ramcreations/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즉 생산과정에 투입되는 생산요소들의 화폐비용으로서 임금, 지대, 이자, 원료비, 고정자본 소모비, 조세, 보험료 등이 포함된다. 생산비는 경제분석의 대상과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관점에서 분류한다.

첫째, 생산비용은 명시적 비용과 잠재적 비용으로 구분된다. 명시적 비용이란 기업의 손익계산서에 기입되는 회계적 비용으로서, 임금·원재료비·임대료·세금 등 다른 사람들의 생산요소를 사용한 대가로 실제로 화폐를 지불한 명목비용을 말한다. 따라서, 여기에는 기업가 자신이 보유한 노동·자본·토지·경영활동 등의 생산요소에 대한 보수는 배제되어 있다.

그러나 경제학에서는 이들 생산요소에 대한 보수 역시 기회비용이라는 측면에서 비용에 포함시키는데, 이를 묵시적 비용 또는 잠재적 비용이라 한다.

둘째, 생산비를 고정비용과 변동비용으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고정비용이란 기업이 매 기간마다 생산량 증감과 무관하게 고정적으로 지불해야 하는 내구적인 영업시설에 대한 비용을 말한다. 이에 비해 생산량이 늘어날수록 증가하는 노동·원재료·연료 등에 대한 비용, 즉 임금·원재료비·연료비 등을 변동비용이라 한다.

단기의 총고정비용과 총변동비용을 합한 것을 총비용이라 하고 이를 생산량으로 나눈 값을 평균비용이라 하는데, 평균비용은 초기에는 감소하다가 나중에는 증가한다. 왜냐하면 산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고정비용은 단조 감소하는 한편, 평균변동비용은 처음에 감소하다가 차츰 증가하여 나중에는 그 증가폭이 평균고정비용의 감소폭보다 커지기 때문이다.

이밖에도 생산비는 가계에서 제공한 요소에 대해 지불하는 임금·지대·이자 등의 요소비용과 다른 기업에서 구입한 원료·보조원료·고정자본 등에 대해 지불하는 사용자비용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자본가에게 생산비는 자신이 경영하는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상품판매가격이 생산비보다 높은가 낮은가에 따라 이익과 손실을 판가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본가의 경쟁력에도 중요한 기초가 되는 것이다. 즉 다른 조건들이 동일한 상황하에서는 상품생산비가 낮을수록 경쟁력이 커지기 때문에, 자본가라면 누구나 생산비를 저하시키기 위해 진력하게 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제

경제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생산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