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새매

다른 표기 언어 Eurasian sparrowhawk 동의어 천연기념물 제323-4호
요약 테이블
분류 척추동물 > 조강 > 매목 > 수리과
원산지 아시아 (대한민국,중국,미얀마,일본,인도)
서식지 숲, 삼림, 평지
먹이 메뚜기, 뿔잠자리, 쥐
크기 약 32cm ~ 39cm
무게 약 100g ~ 350g
학명 Accipiter nisus
식성 잡식
임신기간 약 32~34일
멸종위기등급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취약(VU)

요약 매목 수리과에 속하는 한국의 텃새인 맹금. 한국 전역에서 볼 수 있는 텃새이지만 흔하지는 않다. 번식기에는 우거진 숲에서 볼 수 있으나 가을과 겨울에는 평지와 도시 교외에서 쉽게 눈에 띈다. 크기는 약 32~39cm이며 무게는 약 100~350g 정도이다. 수컷은 등이 석판회색이며 윗목에 흰색 얼룩무늬가 있다. 암컷의 등은 갈색이다. 수컷보다 암컷이 흔한 것은 성비(性比)에서 암컷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잡식성으로 메뚜기, 뿔잠자리, 쥐 등을 주로 먹고 산다. 천연기념물 제323호로 지정된(1982. 11. 4) 매의 일종이다.

새매

ⓒ Viktor Busel/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개요

매목 수리과에 속하는 소형 맹금류. 학명은 ‘Accipiter nisus’이다. 새매는 북위 30°에서 북극까지 구대륙 북반구의 전역에 걸쳐 번식하며, 한국에는 아종인 아키피테르 니수스 니소시밀리스(A.n.nisosimilis)가 분포한다. 북부지역에서 번식한 집단은 겨울에 아열대 지역까지 남하하여 겨울을 나지만 남부 번식 집단은 정주한다.

형태

수컷은 몸길이가 32cm, 암컷은 39cm 정도이다. 수컷의 배는 흰색이며 전면에 아름다운 적갈색 가로무늬가 있다. 암컷의 배는 흰색이며 아름다운 암갈색의 가로무늬가 있다. 눈 주위에 흰색 줄무늬가 뚜렷하고, 다리·눈·납막은 노란색이다. 비행시에는 짧고 둥근 날개와 긴꼬리가 뚜렷하다.

생태

나뭇가지에 작은 나뭇가지로 만든 접시 모양의 큰 둥지를 틀고 5월에 한배에 4~5개의 알을 낳는다. 32~34일간 알을 품고 부화된 후, 24~30일간 어미의 먹이를 받아먹고 둥지를 떠난다. 보통 때는 소리를 내지 않지만 번식기에는 '캬앗, 캬앗, 캬앗, 캬앗' 하고 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4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새매

수리과

추천항목
  • 독수리 독수리 몸길이는 102~112cm 정도이며 대개 암갈색 깃털을 가지.. 출처 다음백과
  • 솔개 솔개 매목 수리과에 속하는 대형 맹금. 유럽과 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출처 다음백과
  • 검독수리 검독수리 매목 수리과의 맹금류. 북반구에 널리 서식하나, 한국에서는 .. 출처 다음백과
  • 참수리 참수리 매목 수리과에 속하는 맹금. 오호츠크 해안, 사할린, 우수리.. 출처 다음백과


[Daum백과] 새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