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1970년 이래 정부 주도로 추진해온 새마을운동을 순수한 민간 주도로 전환·추진하기 위해 1980년 새마을운동중앙본부가 창립되었으며, 1989년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로 명칭을 바꾼 후 2000년 지금의 명칭으로 다시 변경했다. 회원단체로 새마을지도자중앙협의회·새마을부녀회중앙연합회, 직장·공장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새마을문고중앙회·새마을금고연합회가 가입되어 있다. 조직으로 회장과 사무총장 아래 3국 9부, 17개의 시·도지부, 234개의 시·군·구 지회가 있으며 중앙연수원을 운영하고 있다. 1998년 제2의 새마을운동 추진 선언을 하고 '생활개혁운동'과 '새로운 지역공동체운동'을 양대 축으로 하여 경제난국 극복을 위한 경제 살리기 운동과 실업극복 운동, 북한동포돕기운동의 하나인 북한 비료보내기운동 등을 펼쳤다.
1970년 이래 정부 주도로 추진해온 새마을운동을 순수한 민간 주도로 전환·추진하기 위해 1980년 12월 1일 새마을운동중앙본부가 창립되었으며, 1989년 4월 24일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로 명칭을 바꾼 후, 2000년 2월 10일 지금의 명칭으로 다시 변경했다.
회원단체로는 새마을지도자중앙협의회·새마을부녀회중앙연합회·직장·공장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새마을문고중앙회·새마을금고연합회가 가입되어 있다. 조직으로는 회장과 사무총장 아래 3국 9부, 17개의 시·도지부, 234개의 시·군·구 지회가 있으며, 직속연수원으로 중앙연수원(경기 성남시 분당구 율동)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사업으로는 ① 새마을운동의 계획수립 및 시행, ② 회원단체간의 업무협조 및 조정, ③ 새마을국민교육계획의 수립 및 실시, ④ 새마을운동에 관한 국내외 홍보와 국제협력, ⑤ 새마을운동에 관한 조사·연구, ⑥ 기타 설립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부대사업을 펼치고 있다. 주요 활동내용으로는 국민의식개혁운동, 지역활력화사업, 내고장환경가꾸기운동, 내외국인 새마을교육 실시, 독서의 생활화운동, 인보협동사업, 자율봉사대 활동, 생산성 향상을 위한 사업, 시범마을육성 등이 있다. 1998년 제2의 새마을운동 추진 선언을 하고 '생활개혁운동'과 '새로운 지역공동체운동'을 양대 축으로 하여 경제난국 극복을 위한 경제 살리기 운동과 실업극복 운동, 연해주협력사업, 북한동포돕기운동의 하나인 북한 비료보내기운동 등을 펼쳤다.
역대 회장은 제1·2·6대 김준, 제3대 이철우, 제4대 전경환, 제5대 김동하, 제7·8·9대 김수학, 제10대 김유혁, 제11대 이규이, 제12·13대 조해녕, 제14대 강문규였으며, 2002년 현재 강문규가 제15대 회장을 맡고 있다. 본부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3동 1008-4번지에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