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삼보

다른 표기 언어 Triratna , 三寶 동의어 Ti-ratana, 3귀의처, 三歸依處

요약 불교와 자이나교의 교리를 구성하는 3가지 요소.
(팔). Ti-ratana. '3귀의처'라고도 함.

삼보(Triratna)

ⓒ Fred the Oyster/wikipedia | Public Domain

불교에서 삼보는 부처, 부처의 가르침, 그 가르침에 따르는 수행자의 집단인 승가로 이루어진다. 석가모니 부처 때부터 불교 교단에 입문하는 의식은 다음과 같은 말과 함께 삼보를 공식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이루어진다. "나는 부처에게 귀의합니다. 나는 법에 귀의합니다.

나는 승가에 귀의합니다." 자이나교에서는 삼보를 '라트나 트라야'(ratna-traya)라고도 하며, 올바른 신앙(samyag-darśana), 올바른 지혜(samyag-jñāna), 올바른 행위(samyak-cāritra)를 말한다. 이 3가지 가운데 어느 하나도 다른 2가지로부터 떨어져 존재할 수 없으며, 정신적 해방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서는 3가지 모두가 요구된다고 한다. 그림에서 삼보는 흔히 삼지창으로 상징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

종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삼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