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서쪽의 핀란드 만 만구로부터 동쪽의 소련과의 국경에서 가까운 피헤셀케 호숫가의 요엔수까지 핀란드 남부를 나란히 가로지르는 3개의 능선.
이 능선들의 중요성과 기원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었다. 모양은 바늘처럼 뾰족하며 너비 2㎞ 이상, 높이 100m 이상 되는 곳들도 있다. 능선들은 살파우셀케 I과 살파우셀케 Ⅱ라고 명명된 2개의 뚜렷한 호(弧)를 이룬다. 어떤 지역에서는 제3의 호로 살파우셀케 Ⅲ이 인정되지만, 이것은 분포가 보다 한정되어 있다.
살파우셀케 능선들은 너비가 좁고 평탄한 대지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능선들은 필경 얼음 속으로 흘러온 하천들에 의해 운반된 빙력토와 빙성물들로 이루어져 있다. 어떤 학자들은 이 능선들이 주요간빙기에 얼음이 녹았던 바깥 부분에 형성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형태와 구조는 파도의 작용에 의해 바뀌었는데 꼭대기가 평평한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따라서 이 능선들은 퇴빙작용과 함께 일어난 복잡한 해수면 변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며, 또한 빙하의 영향을 받은 분지에 매년 얇게 퇴적된 실트층과 점토층으로 이루어진 빙호의 역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유럽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