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살터리

다른 표기 언어 psaltery

요약 뜯는 현악기.
(그리스어로 '하프'라는 뜻의 psaltērion에서 유래).

거트·말총·금속 현이 평평한(때로 사다리꼴·4각형·각형·날개형 등 다양함) 지판을 가로지른다. 현은 모두 개방현으로 되어 있으며, 줄의 길이를 조정하여(이를테면 지판을 사용하거나 손가락으로 현의 길이를 조절하여) 다른 음을 낼 수 없었다.

그리스 고전시대말경 근동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12세기에 사다리꼴 아라비아 살터리인 카눈이라는 변종으로 유럽에 전래되었다. 15세기에는 전유럽에서 널리 사용되었고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그 가운데 특기할 만한 것은 2개의 곡선 측면을 지닌 '곰 머리형' 살터리이다. 이 악기는 손가락 또는 2개의 깃촉 피크로 뜯어 연주되었다.

사양길에 접어든 후에도 이따금 사교 모임에 등장했으며 건반장치로 줄을 뜯게 되어 있는 일종의 큰 살터리인 하프시코드를 낳았다. 살터리는 오늘날에도 유럽 민속음악에 살아 남아 있는데, 예를 들면 핀란드의 칸텔레가 있고 이와 유사한 발트 해 민족들의 악기인 에스토니아의 칸넬(이 악기는 뜯지 않고 활로 켬), 러시아의 구슬리가 포함된다.

중세 카눈은 인도를 거쳐 인도네시아와 중국으로도 전파되었으며 아랍어권 국가에서는 여전히 활발하게 연주되고 있는데, 손가락으로 뜯어 연주하며 3현으로 되어 있다. 살터리류 악기들은 팔이나 목이 없는 틀을 가로질러 줄이 매여 있는 치터족(族) 악기에 속한다. 그러므로 비(非)서구 살터리는 때때로 치터를 가리키기도 한다. 한편 뜯지 않고 해머로 치는 살터리의 일종으로 덜시머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현악기

현악기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살터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