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고려시대 연회나 왕의 행차 때 장막 설치를 맡아보던 관청.
목종 때 상사국으로 설치되었으며, 문종 때 관원으로 정6품의 봉어 1명, 정7품의 직장 2명을 두었다. 1308년 충선왕이 복위하여 관제를 개편할 때 사설서로 되었다. 이때 관원으로 정5품의 겸임관직인 제점 1명, 정5품의 영 2명, 정6품의 승 2명, 정7품의 직장 2명, 정8품의 부직장 2명을 두었으며, 뒤에 제점과 부직장을 없애고 영을 정6품으로, 승을 정9품으로 품계를 내렸다. 그뒤 1356년 상사서로, 1362년 사설서로, 1369년 상사서로, 1372년 사설서로 개칭을 여러 번 반복했다. 조선시대에는 독립되어 설치되지 못하고, 기능만 내시부로 이관시켰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고려
고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