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볼네

다른 표기 언어 Constantin-François de Chasseboeuf, comte de Volney 동의어 콩스탕탱 프랑수아 드 샤스뵈프 볼네
요약 테이블
출생 1757. 2. 3, 프랑스 크라옹
사망 1820. 4. 25, 파리
국적 프랑스

요약 프랑스의 역사가·철학자.

볼네(Constantin-François de Chasseboeuf)

ⓒ H. Rousseau/wikipedia | Public Domain

〈폐허:제국의 혁명들 Les Ruines, ou Méditations sur les révolutions des empires〉을 통해 18세기의 합리주의적 역사·정치 사상을 함축적으로 그려냈다.

파리에서 공부할 때 철학자 클로드 엘베티우스의 미망인 엘베티우스 부인의 살롱에 자주 드나들면서 돌바흐 남작이나 벤저민 프랭클린 같은 사람들과 교우를 가졌다. 일찍부터 역사와 고대언어에 흥미를 가져 이집트와 시리아를 여행했고, 이어 〈시리아와 이집트 기행 Voyage en Syrie et en Égypte……〉(2권, 1787)과 친(親)러시아적 성격의 〈투르크 전쟁에 대한 고찰 Considérations sur la guerre actuelle des Turcs〉(1788)을 출간했다. 1791년에는 그의 가장 영향력 있는 저서인 〈폐허〉가 나왔다.

이 책에서 시민사회의 기원과 그 와해 원인을 연구한 그는 혁명이 자연법·종교·평등·자유 등의 원리를 포기한 결과로 일어났다고 보았다. 삼부회와 입법의회 의원으로 있을 때는 국민군을 설립하고 프랑스를 코뮌(자치도시)과 도(道)로 나눌 것을 촉구했다. 1792년에는 코르시카에 영지를 매입하여 시범적인 집약농법으로 농업생산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1793년 공포정치가 실시되고 있던 파리에 갔다가 지롱드 당원으로 간주되어 투옥되었다. 1794년 파리 고등사범학교의 역사학교수가 되었고, 1795~98년에는 미국을 방문했다. 나폴레옹 때 상원의원이 되었고 '제국의 백작'(comte d'empire) 작위를 받았지만(1808) 제국에 대해서는 반대입장을 가졌다. 루이 18세 치하에서 작위귀족이 되었다(1814).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철학가

철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볼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