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우산이끼강 뿔이끼아강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땅 위를 기면서 자라는 1년생 또는 다년생식물들로 이루어진 5속(屬)의 이끼들.
hornwort라고도 함.
다른 분류체계에 따르면 뿔이끼아문 뿔이끼강(Anthocerotopsida) 뿔이끼목에 속한다. 이중 뿔이끼속이 가장 큰 속으로 전세계에 퍼져 있으며, 짧은뿔이끼속 식물들은 북아메리카에서 흔히 자란다.
뿔이끼류는 축축한 숲속의 흙이나 열대와 온대의 바위 위에서 자란다. 생식기관이 만들어지는 배우체는 진한 초록색을 띠며 갈라졌고, 길이는 2.5㎝ 정도이다. 영양을 담당하는 포자체는 긴 못처럼 생겼고, 키는 2~5㎝ 정도이며 오래 산다. 배우체인 엽상체는 납작하고 잎처럼 생겼으며, 중륵이 없고 영양번식하는 무성아도 생기지 않는다. 생식기관은 엽상체의 위쪽 면에 움푹 파묻혀 있다. 엽상체의 아랫면에는 뿌리처럼 생긴 헛뿌리가 나 있어 식물체를 고정시킨다.
때때로 엽상체의 아랫면에 있는 기실공에는 남조류의 일종인 염주말속 식물들이 군체로 자라는데, 우산이끼류에는 이와 같은 구멍이 없다. 포자체의 아래쪽에 연속생장대가 있으며 크고 불규칙한 족부를 지니는 점에서 다른 이끼류와 구별된다. 우산이끼류에는 족부와 포자가 들어 있는 삭(蒴)을 연결하는 자루가 있으나 뿔이끼류에는 없다.
정자가 물을 타고 수생식기에서 암생식기로 이동하여 유성생식이 이루어진다. 암생식기에서 수정된 난자는 긴 삭을 지닌 포자체로 발달하며, 이 삭이 완전히 자라면서 세로로 갈라져 그 속에 있던 포자가 퍼져나간다. 포자체의 각 세포에는 녹말을 만드는 피레노이드를 지닌 큰 엽록체가 2개 이상 들어 있다. 포자체 중앙부에 있는 세포로 된 기둥은 수분과 양분이 이동하는 통로가 되기도 한다. 세포가 길게 자란 탄사(彈絲)는 포자를 멀리 퍼트리는 역할을 하는데, 대개 불규칙하고 여러 개의 세포로 이루어진다. 우산이끼류의 탄사는 1개의 세포로 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