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비판적 사실주의

다른 표기 언어 Critical Realism , 批判的寫實主義

요약 자연주의나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와 구별해 고리키가 만든 문학용어.

일반적으로 객관적 현실을 중시하고 그것을 충실히 묘사하려는 문학적 경향을 말한다.

사실주의란 용어는 현실성·구체성·역사성을 근거로 삼고 있는데, 비판적 사실주의는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시민사회의 모순, 특히 시민계급의 의식이 높아지던 시기에 가졌던 이상이 더이상 이루어질 수 없다는 인식이 팽배해지면서 대두되었다.

비판적 사실주의의 사상적 토대는 부패한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의 다양하고 자유로운 발전을 지향하는 휴머니즘과 민중연대성이다. 비판적 사실주의의 작품은 인간성이 말살되고 인간의 행복이 사회적 제약으로 막히는 것을 한탄하거나 분노에 찬 목소리로 고발해 비인간적인 사회 현상들을 사회구조적 측면에서 비판하고 사실적으로 형상화했다. 현실비판이 있다는 점에서 현상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데 그친 에밀 졸라류의 자연주의와 구별되며, 전망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와 구분된다.

비판적 사실주의는 무엇보다 봉건적·자본주의적 사회체제의 구조적 측면에 대해 생생하고도 비판적인 묘사를 중시하기 때문에 추한 것과 비속함이 아름다움과 숭고함의 감상적인 이미지보다 강하게 드러난다. 또 풍자·아이러니·그로테스크 등의 미적 비판의 형태들을 문학의 효과적인 표현수단으로 썼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발자크의 〈인간희극〉, 뷔히너의 〈보이체크〉·〈당통의 죽음〉, 고골리의 〈검찰관〉, 톨스토이의 〈부활〉, 하우프트만의 〈직조공들〉, 토마스 만의 〈파우스트 박사〉 등이 있고, 한국소설 가운데 염상섭의 〈삼대 三代〉, 채만식의 〈탁류〉·〈천하태평춘 天下太平春〉 등이 이에 속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화 일반

문화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비판적 사실주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