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비파기

다른 표기 언어 P'ip'a chi , 琵琶記

요약 중국 남희(南戱) 극본.
(병). Pipa ji. (웨). P'ip'a chi.

원대(元代) 말기에 고명(高明)이 지었다. 이 작품의 주인공인 선비 채백개(蔡伯喈)가 수도로 과거보러 가서 장원급제한 후 억지로 우(牛)승상의 데릴사위가 되었는데 그동안 그의 처 조오랑(趙五娘)은 고향에서 늙은 시부모를 봉양한다. 기근이 닥쳐 시부모가 차례로 굶어죽자 조오랑은 걸식을 해가며 남편을 찾아나선다. 다행히 우(牛)부인의 어진 덕성으로 채백개와 조오랑은 함께 단란하게 살게 된다는 내용이다.

남송(南宋)시대에 원래 〈조정녀채이랑 趙貞女蔡二郞〉이란 극이 있었는데 채백개가 부모를 버리고 부인을 배반하여 벼락맞아 죽는다는 줄거리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해 〈비파기〉는 '불효(不孝)하고 불충(不忠)한' 채백개를 '충성스럽고 효성스러운' 사람으로 바꾸어 그의 성격을 새롭게 창조하고, 극의 모순적인 면을 변화시켜 완전히 새로운 내용의 작품으로 만들었다. 또한 비판의 칼끝을 권문세도가에게 돌리고 사회제도와 복잡한 사회모순 속에서 비극탄생의 원인을 찾아냈으며, 조오랑의 형상을 성공적으로 묘사했다. 극의 구성에서는 2개의 상황이 번갈아 교차되는 진행 수법을 사용하여 더욱 생동감 있게 만들었다.

이 작품의 출현은 원말명초에 남희가 발전했다는 증거 가운데 하나이며, 후대 희곡에 큰 영향을 끼쳐 근대의 극에도 같은 제목이 많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희곡

희곡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비파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