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비타민 B12

다른 표기 언어 vitamin B12 동의어 코발라민, cobalamin, 항악성빈혈인자, 抗惡性貧血因子

요약 항악성빈혈인자로 알려진 비타민 B12는 고등동물 적혈구의 생성에 도움을 주는 외인자로도 알려져 있다. 코발트 금속 이온을 포함하며 복잡한 화학구조를 갖고 있다. 비타민 B12는 몇몇 형태의 코발라민이 있는데, 이 중 의학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시아노코발라민이 가장 중요하다.
비타민 B12는 전 소화과정을 촉진시키고, 영양소의 동화를 용이하게 만드는 것으로 생각된다. 사람은 매일 3㎍의 비타민 B12가 필요하며, 이 비타민이 풍부한 식품으로는 계란·고기류·유제품 등이 있다.
고등식물에는 비타민 B12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비타민은 몇몇 곰팡이와 세균에 의해 합성되며, 간 및 다른 동물성 물질에 들어 있는 이 비타민의 근원은 여러 종류의 미생물들로 밝혀졌다. 핵산을 합성하는 데에도 역할을 한다.

비타민 B12(vitamin B12)

항악성빈혈인자

ⓒ NatchaS/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항악성빈혈인자(抗惡性貧血因子)로 알려진 비타민 B12는 고등동물 적혈구의 생성에 도움을 주는 외인자(外因子)로도 알려져 있다. 특이하게도 코발트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이 비타민은 복잡한 화학구조를 갖고 있다. 비타민 B12는 몇몇 형태의 코발라민으로 존재하며, 이 가운데 의학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시아노코발라민이 가장 중요하다.

1930년대 미국 내과의사인 W.B.카슬이 정상적인 위 분비액에서 내인자(內因子)를 분리했는데 이는 악성빈혈(급성과 때때로 치명적인 적혈구 장애)을 앓고 있는 사람의 위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 환자들이 동물의 간이 들어 있는 음식을 다량으로 섭취하면 증세가 호전된다는 사실로부터 카슬은 악성빈혈을 완화시키거나 예방하는 외인자는 동물의 간에서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했다. 1948~49년 미국의 화학자 칼 폴커스와 영국의 알렉산더 토드(나중에 토드 남작이 됨)의 연구에 의해 간에 존재하는 순수한 항악성빈혈인자인 비타민 B12가 분리 및 확인되었다.

비타민 B12는 전 소화과정을 촉진시키고, 영양소의 동화를 용이하게 만드는 것으로 생각된다. 사람은 매일 3㎍의 비타민 B12가 필요하며, 이 비타민이 풍부한 식품으로는 계란·고기류·유제품 등이 있다.

알려진 바로는 고등식물에는 이 비타민이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고등동물의 음식물에는 이 비타민이 필요하다는 것이 지금까지 연구된 결과이다. 이 비타민은 몇몇 곰팡이와 세균에 의해 합성되며, 간 및 다른 동물성 물질에 들어 있는 이 비타민의 근원은 일반적으로 여러 종류의 미생물들로 밝혀졌다. 이 비타민을 만들 능력이 없는 몇 종류의 세균들은 성장하기 위해서 소량의 비타민 B12를 필요로 한다. 유기체 내에서 비타민 B12가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콜린과 메티오닌 화합물의 메틸기(─CH3)를 합성하는 데 어떤 방식으로든 관련되어 있고, 또한 핵산을 합성하는 데서도 어떤 역할을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비타민 B12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