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946. 12. 18, 남아프리카 킹윌리엄타운 |
---|---|
사망 | 1977. 9. 12, 프레토리아 |
국적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요약 남아프리카 흑인의식운동의 창시자.
그는 경찰에서 조사를 받을 때 당한 머리부상으로 사망함으로써 남아프리카 흑인 민족주의의 국제적 순교자가 되었다. 판매원인 아버지와 하녀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1963년 정치가인 형이 경찰의 단속으로 체포되고 자신은 레오베달레 고등학교에서 퇴학당하자 정치적 의식에 눈을 뜨게 되었다. 그는 나탈에 있는 자유주의적 기숙사제 학교인 성프란시스대학에 입학하여 1966년 졸업했으며 이어서 나탈의과대학교에 입학했다. 거기서 오랫동안 흑인들의 권리를 지지해왔던 중도파 조직인 남아프리카 다인종학생연합(NUSAS)에 가입했다.
그는 점차 "백인들은 항상 말하고 흑인들은 항상 듣고 있을 뿐이다"라고 주장하면서 다인종학생연합의 한계를 깨닫고 1968년 남아프리카 전흑인학생연합(SASO)을 공동창립하여 초대 의장이 되었다. 이 조직의 목적은 백인들에 의한 흑인들의 심리적 억압을 극복하기 위하여 '흑인의식'과 흑인자긍심을 북돋는 데에 있었다. 그는 또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남아프리카 학생연합을 창설하는데 일조했고 많은 젊은 직업인들과 지식인들로 이루어진 외곽조직인 흑인민중회의(BPC)의 명예의장이 되었다. 그는 "여러분들이 이미 마음을 결심했듯이 40세가 되어서야 마음을 먹거나 생각을 바꾸고자 하는 것은 시간의 낭비입니다"라고 말하면서 청년조직들에게 조기에 투쟁을 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코가 흑인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정치잡지인 〈블랙 리뷰 Black Review〉를 발행하자 마침내 정부 당국은 그뿐만 아니라 다른 SASO·BPC 회원들에게 1973년 2월 그들의 회합·운동·대중연설을 엄격하게 제한하는 금지처분을 내렸다. 그러나 비코는 1975년 정치범들과 그의 가족을 돕기 위하여 지멜레 신용기금을 설립하는 등 활동을 계속했다. 그해 그는 체포되어 137일 동안 불법구금당했으며 1976년 8월에 다시 체포되어 101일 동안 불법구금당하고 1977년 3월과 7월에도 체포되었다.
결국 1977년 8월 18일 그와 동료들은 도로상에서 체포되어 포트 엘리자베스에 수감되었다. 거기서 그는 24일 동안 맨 몸으로 수갑을 채운 채 지냈는데, 3군데의 머리 상처로 고통을 받았다. 사후 부검에 의하면 그는 머리에 외부타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9월 11일 혼수상태로 1190㎞나 떨어진 프레토리아로 옮겨진 후 사망했다. 조사위원회는 관련경찰 모두를 사면해주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