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미상 |
---|---|
사망 | 455(비유왕 29) |
국적 | 한국, 백제 |
요약 백제의 제 20대 왕이자 구이신왕의 큰아들 또는 개로왕의 아버지. 구이신왕이 죽은 뒤 즉위하여 귀족세력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으나, 429년(비유왕 3) 여신이 죽자 외척세력이 권력의 핵심부를 장악했다. 송나라와 신라와 화의를 맺었다.
제19대 구이신왕의 큰아들 또는 18대 전지왕의 서자라고 하며, 21대 개로왕의 아버지이다. 구이신왕이 죽은 뒤 즉위했다. 428년 4부를 순무하고 가난한 자에게 곡식을 나누어주었다. 일찍이 전지왕대에 왕권강화를 위해 상좌평직을 신설하여 전지왕의 동생인 여신을 임명하는 등 귀족세력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으나, 429년(비유왕 3) 여신이 죽자 해수가 상좌평이 되는 등 외척세력이 권력의 핵심부를 장악했다.
같은 해 가을 송나라에 사신을 보냈으며, 430년 송나라로부터 사지절도독백제제군사진동장군백제왕이라는 작호를 받았다. 433년 신라에 사신을 보내 화의를 맺음으로써 고구려에 대항하는 나제동맹을 형성했으며, 왜와의 동맹관계도 유지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