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금속과 비소(As)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희귀 광물군의 일종.
금속의 배위결합 형태는 거의 항상 팔면체 또는 사면체이다. 팔면체인 경우, 각 금속 이온은 6개의 음전하를 띤 비소 이온으로 구성된 팔면체 내부에 위치한다. 이에 반해 사면체인 경우, 각 금속 이온은 음전하를 띤 6개의 인접한 사면체에 의해 둘러싸인다.
비소화광물은 구조적으로 방연석·섬아연석·휘은석 같은 황화물과 비슷하므로 흔히 황화광물군에 포함된다(→ 황화광물).
흔한 비소화광물은 니콜라이트(NiAs)와 스커테루다이트(CoAs3) 2가지이다. 니콜라이트는 저온성 열수광물로 육방정계 대칭을 가지며, 보통 니켈·코발트 및 은의 황화물과 수반된다. 한편 스커테루다이트는 중온성·고온성 열수광물로 등축정계 대칭을 가지며, 유비철석(硫砒鐵石)·자연은(自然銀) 및 비스무트가 수반된다.
다른 비소화광물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마우커라이트 Ni11As8
람멜스크버가이트 NiAs2
비코발트석 (Co, Ni)As3-x
사플로라이트 (Co, Fe)As2
뢸링가이트 FeAs2
아세노팔라디나이트 Pd3As
디에너라이트 Ni3As
오레고나이트 Ni2FeAs2
알고도나이트 Cu6As
스페릴라이트 PtAs2
모든 비소화광물은 금속광택을 가지며 불투명하고, 높은 비중과 중간 내지 낮은 경도를 갖는다. 마우커라이트·니콜라이트·람멜스크버가이트·비코발트석·스커테루다이트·사플로라이트·뢸링가이트로 연속되는 비소화광물의 순서는 환원환경으로부터 산화환경으로 전이하는 순서와 일치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지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