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비베스

다른 표기 언어 Juan Luis Vives
요약 테이블
출생 1492. 3. 6, 아라곤 발렌시아
사망 1540. 5. 6, 브뤼헤
국적 스페인

요약 스페인의 인문주의자.

에라스무스의 제자로서 교육학·철학·심리학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다. 스콜라주의를 강력히 비판했으며 탐구방법으로 귀납을 강조했다.

종교재판을 피하기 위해 17세에 스페인을 떠났고 파리에서 공부(1509~12)를 마친 뒤 루뱅에서 인문학 교수가 되었다(1519).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 De civitate Dei〉에 대한 주석(1522)을 영국의 헨리 8세에게 헌정한 뒤, 1523년 영국으로 건너가 웨일스 공녀 메리의 교사로 일하면서 옥스퍼드대학교에서 철학을 강의했다. 1527년 헨리 8세가 아라곤의 카탈리나와 이혼하는 것에 반대하다가 왕의 신임을 잃고 6주 동안 감옥에 갇혔으며, 풀려나온 뒤 저술에 전념하기 위해서 영국을 떠나 네덜란드로 갔다.

비베스는 교육학 분야에서 〈어린이 교육의 올바른 방법 De ratione studii puerilis〉(1523)과 〈교육에 관한 20권의 책 De disciplinis libri xx〉(1531) 등의 저서를 통하여 명성을 얻었다. 이책에서 그는 학교에서 모국어를 쓰자고 주장했으며 대학을 세울 것을 역설했으며 여성에 대한 교육을 지지했다. 에라스무스가 성서와 언어연구에 사용하자고 주장한 개인적 탐구와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귀납의 원리를 어린이의 자연연구에 적용하자고 제안한 것은 그의 가장 위대한 혁신으로 꼽힌다.

그가 심리학과 철학방법론에서 뛰어났다고 할 수 있는 이유는 〈영혼과 삶에 관한 3권의 책 De anima et vita libri tres〉(1538)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 책은 관념의 결합, 기억의 본성, 심지어 동물심리학까지 다루고 있으며 귀납을 심리학과 철학의 방법으로 강조하고 있는데, 그가 죽은 뒤 100년 동안 나타난 위대한 사상가들의 생각을 어느 정도 예견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학자

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비베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