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비론

다른 표기 언어 Ernst Johann, Reichsgraf von Biron
요약 테이블
출생 1690. 11. 23(구력 11. 13), 쿠를란트 칼른키엠스
사망 1772. 12. 29(구력 12. 18), 미타우(지금의 옐가바)
국적 쿠를란트

요약 독일 태생 러시아의 정치가.
Biron은 B대체이미지hren이라고도 씀.

쿠를란트 공작이자 러시아 여제(女帝) 안나(1730~40 재위)의 수석 고문관으로 러시아 정세에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의 조부는 독일인으로, 쿠를란트 공작 야코프 3세(1642~82)의 하인이었다.

그는 쾨니히스베르크(지금의 칼리닌그라드) 아카데미에 다녔으나 말썽을 일으켜 제적당했다. 1714년 러시아에서 출세의 길을 찾다가 실패한 뒤 쿠를란트의 미타우로 가 그곳에서 당시 쿠를란트 공작부인이었던 안나 이바노브나의 궁정에서 자리를 잡았다. 1727년경에는 안나의 애인이 되고 이내 수석 고문관이 되었다. 그는 B. G. 트로타 폰 트라이덴 부인과 결혼한 처지였으나 안나가 1730년 러시아 왕위를 계승할 때 모스크바까지 그녀와 동행했다. 신성 로마 제국의 백작, 러시아 궁정의 시종장, 벤든(지금의 라트비아 케시스)의 영주로 신분이 올라갔으나 러시아에서 공식 행정관직에 오르지는 못했다. 그러나 곧 러시아 정부의 주요인물로 부각되었으며 안나의 궁정에서 총애받는 독일인들을 이끌었다. 이들은 정부를 마음대로 쥐고 흔들었고 러시아 귀족들을 학대했으며 러시아 물자를 개인적인 이익을 챙기기 위해 이용하고 반대자들을 시베리아로 추방하거나 처형하면서 탄압했다. 그 결과 그는 대부분의 러시아 사람들에게 증오의 대상이 되었다.

1737년 쿠를란트 케틀러 왕가의 혈통이 끊어지자 비론이 쿠를란트 공작으로 선출되었고 1740년 안나는 그를 자신의 종손 안나 레오폴도브나의 아들이며 자신의 어린 후계자인 이반 4세의 섭정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안나가 죽은 지 3주 만에 그는 정적인 뮌헨 백작 부르크하르트 크리스토프에 의해 체포되었다(11. 19~20[구력 11. 8~9] 자정). 뮌헨 백작은 안나의 통치기에 군의 총수였다. 그는 시베리아의 펠림으로 유배되었으나 1742년 야로슬라블 정착이 허용되었고 1762년에는 사면되어 러시아 궁정에 복귀했다.

1763년 예카테리나 2세(1762~96 재위)는 비론에게 쿠를란트 공작작위를 되찾아주기 위해 러시아 군대를 동원했다. 그가 유배당해 있을 때 공작령은 처음에는 공작위원회(ducal council)가, 뒤에는 폴란드 왕 아우구스트 3세의 어린 아들 작센의 카를이 다스리고 있었다. 1769년 비론은 아들 페터에게 작위를 물려주고 퇴위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비론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