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농업생산을 공업적 과정화하는 생산체제를 제어농업 또는 환경조정농업이라고 한다. 이 중하나인 비닐하우스를 도입하는 목적은 생산시기를 조절하거나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경제적·기술적 이점을 얻는 데 있다.
비닐하우스를 통한 환경조절의 예는 저온 시 실온유지를 위한 보온과 난방, 가스환경조절을 위한 탄산가스농도조절, 광선조절, 관수조절, 시비량 및 시비방법의 조절 등이 있다.
비닐하우스 재배는 과채류가 대부분이지만, 이외에도 노지에서는 정상적인 생육을 할 수 없는 특수식물 등에도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유리·철골 구조물 등이 이용되거나 컴퓨터를 이용한 첨단 환기선, 수경재배 등 고도의 시설을 갖춘 농업형태가 등장했다.
농업에서 이러한 인공적 장치를 이용하여 생산하는 경작형태를 보통 시설원예라고 한다. 비닐하우스를 농업생산에 도입하는 목적은 생산시기를 인위적으로 조절하거나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경제적·기술적 이점을 얻는 데 있다.
인위적인 환경조성하의 농업생산을 통해 마음대로 작물이 제어된다면 농업생산도 공업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한데, 이러한 생산체제를 제어농업 또는 환경조정농업이라고 한다. 미생물분야에서도 이미 거의 같은 형태로써 공업화되고 있지만 작물은 독립영양생물로서 스스로 태양 에너지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 에너지의 제어가 극히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농업에서 생산시기를 바꾸거나 특수생산을 위한 시설을 이용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부분 비닐하우스를 이용하는데, 특히 주년재배를 목적으로 할 때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경우의 환경조절의 종류로는 크게 ① 저온시 실온유지를 위한 보온과 난방, ② 가스환경조절을 위한 탄산가스농도조절, ③ 제한된 수광량을 높이거나 높은 강광도 제한을 위한 광선조절, ④ 토양수분의 적절한 공급을 위한 관수조절, ⑤ 합리적인 작물영양보급을 위한 시비량 및 시비방법의 조절 등이 있다.
비닐하우스 재배는 딸기·고추·토마토·오이·배추·무·상추 등의 과채류가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이외에도 열대식물, 화훼류, 노지에서는 정상적인 생육을 할 수 없는 특수식물 등에도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유리·철골 구조물 등이 이용되거나 컴퓨터를 이용한 첨단 환기선, 수경재배 등 고도의 시설을 갖춘 농업형태가 등장했다.
한국에서는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시설원예를 통하여 재배지대·토양 등의 재배환경조건, 노동력, 재배기술 등 제반 요인을 검토하여 다른 지대 및 재배농가와의 경쟁에서 유리한 채소 종류를 선택하고, 재배와 경영기술의 전문화 및 합리화라는 점에서 한 개 또는 몇 개의 채소를 중점적으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채소재배에 비닐하우스농법을 이용할 경우 성주의 수박단지, 밀양의 딸기단지 등 주산단지를 형성해서 재배할 필요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