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브리지

다른 표기 언어 bridge

요약 브리지 휘스트, 옥션 브리지, 콘트랙트 브리지 등이 있다. 휘스트라는 명칭은 17세기초 처음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트라이엄프를 주축으로 한 그 이전의 몇몇 다른 게임들에서 발전한 카드 게임을 가리켰다. 18세기 중엽쯤에는 이미 유럽과 미국 전역에서 아주 인기 있는 카드 게임으로 자리를 굳혔다. 1870년대에는 ‘더미 패’라고도 부르는 ‘공개하는 패’를 도입해 브리지 게임을 개발해냈다(브리지 휘스트라는 명칭은 옥션 브리지와의 구별을 위해 뒤에 생겨난 것임). 그러나 1900년대초 경쟁적인 비드를 도입한 옥션 브리지가 등장하면서 브리지 휘스트는 사라지게 되었다. 가장 세련된 형태의 현대적 게임인 콘트랙트 브리지는 1920년대에 생겨나 1929년에는 표준적인 게임으로 자리잡았다.

브리지 휘스트(bridge whist), 옥션 브리지(auction bridge), 콘트랙트 브리지(Contract bridge) 등이 이에 속한다.

휘스트라는 명칭은 17세기초 처음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트라이엄프를 주축으로 한 그 이전의 몇몇 다른 게임들에서 발전한 카드 게임을 가리켰다.

18세기 중엽쯤에는 이미 유럽과 미국 전역에서 아주 인기 있는 카드 게임으로 자리를 굳혔다. 1870년대에는 더미 패(dummy hand)라고도 부르는 공개하는 패를 도입해 브리지 게임을 개발해냈다(브리지 휘스트라는 명칭은 옥션 브리지와의 구별을 위해 뒤에 생겨난 것임). 그러나 1900년대초 경쟁적인 비드(competitive bidding)를 도입한 옥션 브리지가 등장하면서 브리지 휘스트는 사라지게 되었다.

가장 세련된 형태의 현대적 게임인 콘트랙트 브리지는 1920년대에 생겨나 1929년에는 표준적인 게임으로 자리잡았다.

이 게임은 2명씩 1조를 이루어 4명이 한다. 52장의 카드를 모두 사용하며 13트릭의 내기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트릭은 각 사람이 1장씩 내는 카드로 이루어진다. 맨 첫 비드는 트럼프를 정하고 하든지 아니면 노트럼프(no-trump)로 하든지간에 양 팀 중 어느 한 팀이 정해진 트릭 수를 얻을 수 있는 콘트랙트를 할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트럼프의 짝패들은 모든 카드의 짝패들을 이길 수 있는 카드 패를 가리키며, 노트럼프는 다른 카드에 우위하는 패가 없는 경우를 말한다. 패의 순위는 제일 낮은 클로버에서부터 다이아몬드·하트·스페이드의 순으로 되어 있으나, 노트럼프는 어느 다른 짝패보다 그 순위가 높다. 따라서 가능한 가장 낮은 콘트랙트인 1클로버는 6트릭의 '북'(book:기본적으로 누구나 따야 하는 트릭의 수)에다 반드시 한 번의 트릭은 트럼프로 클로버를 따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개의 클로버는 8트릭을 의미하며, 그와 같은 방법으로 따져 올라가면 7클로버는 13트릭을 딴다는 것이다. 가능한 가장 높은 콘트랙트는 7노트럼프이다.

비드는 딜러부터 시작하여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는데, 이때 딜러는 비드할 수도 있고 건너 뛸 수도 있다. 건너 뛰는 경우를 '패스'(pass)한다고 하며 어떤 나라에서는 이를 '노비드'(no-bid)라고도 한다. 각각의 사람들은 마음대로 '패스'할 수 있으나, 일단 비드를 한다면 앞서 비드한 사람보다 높아야 한다.

1번 비드가 선언된 뒤에 연이어 3명이 패스하면 먼저 비드한 사람이 선언자, 즉 디클레어러(declarer)가 되고 그가 선언했던 비드는 콘트랙트가 되어 내기가 시작된다. 비드에서 진 상대편은 방어자, 즉 디펜더(defender)가 되고 선언자의 왼쪽에 앉은 사람부터 카드를 내놓는데, 선언자의 파트너인 더미는 자신의 차례가 오면 자신의 카드를 테이블 위에 펼쳐 놓는다.

선언자는 더미에게 각각의 트릭에서 어떤 카드를 사용할 것인지를 지시한다.

2가지 방식으로 점수를 기록하는데, 미리 콘트랙트되고 실행된 트릭을 계산해서 기록장부의 '기준선 아래'에 기록하고 보너스와 벌점은 '기준선 위'에 기록한다. 어느 팀이든지 먼저 기준선 아래로 100점을 얻게 되면 한 게임에서 이긴 것이 된다. 클로버와 다이아몬드 카드는 낮은 순위 패로 각각 비드되어 얻어진 트릭당 20점으로 계산된다.

하트와 스페이드는 높은 순위의 패로 각각 30점씩으로 계산된다. 노트럼프는 첫번째 트릭에 한해 40점으로 계산되고 그 이후로는 30점으로 계산한다. 그러므로 게임은 낮은 순위의 카드 5장(11트릭)을 갖고도 이길 수 있고 높은 순위의 카드 4장(10트릭)을 갖거나 노트럼프 카드 3장(9트릭)을 갖는 경우에도 이길 수가 있다. 또한 '스몰 슬램'(small slam:12트릭을 비드하고 딴 경우)과 '그랜드 슬램'(grand slam:13트릭을 비드하고 딴 경우)에는 보너스가 더해진다.

벌점(set)은 콘트랙트를 채우는 데 실패했을 때 받게 된다.

흔히 내기 게임으로 하는 러버 브리지(rubber bridge)에서는 한조가 2게임을 연속적으로 이길 때까지 여러 판을 한다. 듀플리케이트 브리지(duplicate bridge)라고도 하는 토너먼트 게임은 2개 혹은 그 이상의 여러 테이블에서 판을 벌이고 그 결과를 서로 비교하는 것으로 따로따로 점수를 계산하고 나서 게임이 끝난 뒤에 벌점과 보너스 점수를 더한다.

많은 형태의 페어 게임과 팀 대항 경기가 지역·국가·국제 리그의 감독하에 듀플리케이트 원칙에 따라 벌어진다. 개인의 순위는 토너먼트에서 이겼을 때 주어지는 마스터 점수로 결정한다. 같은 편끼리는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정 비드가 갖는 의미에 대해 서로 정보를 나누며 협의할 수 있는데, 보통 이러한 비드들은 시스템이나 컨벤션의 성격을 갖는다.

시스템 비드는 크게 내추럴 시스템과 스트롱클로버 시스템의 2가지 형태가 있다. 내추럴 시스템의 경우에는 보통 패를 가진 사람이 1장을 내고 좋은 패를 가진 사람이 2장을 내어 시작한다. 스트롱클로버 시스템에서는 좋은 패를 가진 사람이 일부러 클로버 1장만을 비드한다. 위의 두 경우 모두에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3단계 오프닝 비드 때 프리엠프티브 비드를 하는 것이 있는데, 이는 7장 혹은 그 이상의 짝패를 가지고 상대편이 높은 점수의 정확한 콘트랙트에 비드하는 것을 방해하기 위해 일부러 약한 패에 비드하는 것을 가리킨다.

컨벤션 비드는 체계적이지 못한 비드로 같은 편끼리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특별한 의미를 표현하도록 미리 짠 것이다.

이것들은 흔히 컨벤션 비드 발명가들의 이름을 따서 부르는데 이들 발명가들은 주로 엘리 컬버트슨이나 이슬리 블랙우드와 같이 잘 알려진 브리지 선수들이다. 브리지 대회에서 시스템 비드와 컨벤션 비드는 먼저 대회를 관장하는 기구로부터 허가를 받아야 하며 또한 그들의 의미를 상대편에게 정확히 설명해 주어야 한다.

브리지 게임에서 전략을 세우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상대편을 혼동시키기 위해 카드를 속이거나 허풍으로 비드하는 것을 비롯해 게임에 필요한 여러 가지 미묘한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선언자는 더미의 패까지 합쳐서 2개의 패를 조화롭게 이용하여 게임을 잘 운영하려고 하는데, 이때 그의 승리는 상대편의 보이지 않는 카드의 분배에 달려 있으므로 그들이 어떤 카드를 가졌을지 추측한 것을 바탕으로 게임을 전개해 나간다. 그러나 방어자들은 상대편이 비드할 때나 패를 내놓을 때 얻은 정보에 의존하여 게임을 진행하여야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취미

취미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브리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