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브루투스

다른 표기 언어 Dennis (Vincent) Brutus
요약 테이블
출생 1924. 11. 28, 남부 로디지아 살리스베리
국적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약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시인.

그의 작품은 주로 자신을 비롯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흑인들이 겪는 고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공공연한 정치적 목적 외에도 그의 작품의 주된 관심사는 무자비한 세계에서 인간적인 감수성을 보존하는 데 있다. 14년 동안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영어와 아프리칸스어를 가르쳤다.

특히 운동경기에서 두드러지던 인종차별정책에 대한 노골적인 항의로 인해, 18개월 동안 옥살이를 하는 외에 교직 및 저술활동, 출판, 정치 및 사회행사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당했고, 비트바테르스란트대학에서 계속하던 법학 공부도 중지당했다.

1966년 로디지아 여권을 갖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떠난 뒤, 영국에 정착해 덴버대학에서 교편을 잡았다. 1971년 미국 일리노이 주(州) 에반스턴에 있는 노스웨스턴대학의 아프리카 문학교수가 되었다. 장기간에 걸친 법적 투쟁 끝에, 1983년 정치적 난민의 자격으로 미국에 정착할 권리를 얻었다.

학교 체육에 인종분리주의를 적용하던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1972년 올림픽에서 제외시키는 데 커다란 역할을 했으며, 이후로도 반인종차별 및 이와 관련된 사회 운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했다. 1960년대말 남아프리카 공화국 수인(囚人) 석방을 위한 범세계 캠페인의 총지휘자가 되었다.

첫 시집 〈사이렌, 손마디 그리고 가죽장화 Sirens, Knuckles and Boots〉(1962)는 그가 감옥에 있을 때 나이지리아의 음바리사(社)에서 출판되었다. 이 시집은 1962년 아프리카의 음바리 문학상 수상작으로 선정되었으나, 수상 대상을 흑인 시인으로 제한한 데 대한 항의의 표시로 수상을 거부했다. 그의 작품은 저항시이기는 하지만 자기 연민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만한 성숙함과 절제를 보여준다.

다음에 인용한 대목에서도 그와 같은 면이 잘 나타나 있다. "우리의 땅은 온통 테러로 얼룩져서/아름답지도 사랑스럽지도 않게 되었네/우리는 산산히 찢겨졌고 우리의 모든 열정은 사라졌다네/그러나 어쨌든 부드러움은 살아 남았다네"(〈"어쨌든 우리는 살아 남았다네"〉에서) 정치범으로 수형생활을 할 당시의 비참함과 외로움을 노래한 〈마사에게 보내는 서신 그리고 어느 남아프리카 교도소에서 지어진 시들 Letters to Martha and Other Poems from a South African Prison〉(1969)이라는 시집에서도 그는 절제된 예술적 통제력을 보여주었으며, 노여움과 부드러움을 잘 조화시키고 있다. 후기작품으로는 〈소박한 욕정 A Simple Lust〉(1973)·〈중국시 China Poems〉(1975)·〈끈질긴 희망 Stubborn Hope〉(1978)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브루투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