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브루클린 다리

다른 표기 언어 Brooklyn Bridge

요약 브루클린에서 뉴욕 시의 맨해튼 내륙까지 잇는 현수교.

브루클린 다리(Brooklyn Bridge)

브루클린 다리의 모습

ⓒ tpsdave/Pixabay | Public Domain

19세기 토목공사의 훌륭한 성과품인 브루클린 다리는 최초로 강철 케이블을 사용한 교량이다. 그것을 시공하는 동안 처음으로 공기 잠함(潛函)의 내부에서 폭약이 사용되었다. 존 오거스터스 뢰블링의 걸작인 브루클린 다리는 엄청난 어려움을 겪으면서 건설되었다.

뢰블링은 공사 초기에 사고로 죽었고, 감독기술자로 자리를 인계받은 그의 아들 워싱턴 뢰블링은 뉴욕에서 교각의 기초공사를 하던 도중 공기색전증으로 불구가 되었다(1872). 그러나 컬럼비아 하이트(브루클린)에 있는 아파트에서 쌍안경으로 관찰하며 공사를 계속 감독했고, 그의 아내 에밀리 와렌 뢰블링을 그곳에 보내 지시했다.

압축공기의 폭발로 공기 잠함이 파괴된 데다 다른 잠함에서 수주일 동안 연기가 난 극심한 화재가 발생하여 공사는 늦어졌다. 또한 맨해튼 쪽에 있는 고정장치가 끊어지는 바람에 케이블이 강에 빠져버리고, 강선계약업자들의 사기로 수t의 케이블을 교체해야 되었기 때문에 공사가 더욱 지연되었다. 486m의 브루클린 다리의 주경간은 1890년 캔틸레버식 퍼스 오브 포스 다리의 완공 전까지는 세계에서 가장 긴 것이었다. 4개의 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교량 도로면으로 차량과 사람이 다닐 수 있다.

뚜렷한 특징은 도로 위의 넓은 보행로인데, 이것에 대해 존 뢰블링은 "밀집된 상업도시에서 그것은 무한한 값어치가 있을 것이다"라고 정확하게 예측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브루클린 다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