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브러돌번 앤드 홀런드

다른 표기 언어 John Campbell, 1st Earl of Breadalbane and Holland 동의어 Earl of Caithness
요약 테이블
출생 1635경
사망 1717. 3. 19
국적 스코틀랜드, 영국

요약 스코틀랜드의 정치가.
Earl of Caithness라고도 함(1677~81).

글렌코 학살을 공모한 것으로 유명하다. 글레노키의 존 캠벨 준남작 4세(1686 죽음)의 아들로 1654년 글렌케언 백작 휘하에서 왕당파 봉기에 참가했으며, 이후 1660년 찰스 2세의 왕정복고에 공헌했다.

찰스 2세로부터 케이스네스 백작작위를 받았으며 1677년 브러돌번 자작에 봉해졌다. 그러나 이 조치가 케이스네스에서 반발을 불러일으키자 찰스 2세는 1681년 그의 작위를 철회하고 대신 브러돌번 앤드 홀런드 백작작위를 내렸다.

1689년 명예혁명 이후 반란을 일으킨 하일랜드인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잉글랜드 정부는 그에게 그곳의 파벌들을 굴복시키라고 명했다. 정부는 뇌물로 쓰라고 자금을 주었지만 그는 이 자금을 개인 용도로 사용한 듯하며 대신 위협과 계략을 통해 저항세력들에게 지지를 얻어내고 심지어 그들과 유착하기까지 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1692년 2월 13일 맥도널드 파벌의 몇몇 사람들이 적대감정을 품고 있던 병사들에게 무자비하게 살육당한 글렌코 학살이 발생했다. 이 일로 브러돌번을 비난하는 여론이 들끓었으나 그는 여러 세대에 걸쳐 브러돌번 자신과 이웃사람들의 땅에서 약탈을 일삼으며 살아온 맥도널드 파벌을 파멸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왔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브러돌번은 학살계획을 미리 알고 있었더라도 직접 학살사건을 주모한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그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만한 실질적인 증거는 하나도 드러나지 않았으며 1695년 9월 그가 투옥당한 것은 앞서 재커바이트 두목들과의 밀약 때문이었다. 나중에 윌리엄 3세가 브러돌번의 행동은 왕의 재가를 얻은 것이었다고 발표함으로써 그는 석방되었다.

그는 1707년의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통합에 대해 찬성하지는 않았으나 대영제국의회(1713~15)에 스코틀랜드 대표로 참가했다. 그는 재커바이트들과의 접촉을 계속 유지했고 1708년에도 그들을 부추겼지만 자신이 개입했다는 문서기록은 전혀 남기지 않았다. 1715년 재커바이트 반란이 일어났을 때 그는 에든버러로 출두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노령과 병약함을 이유로 소환에 불응했다(9. 19). 그러나 그 다음날 로기레이트에 있는 마 백작의 캠프를 방문했으며 후에는 퍼스에 있는 캠프를 찾아갔다.

싱클레어의 작품에 따르면 그의 본업은 "남을 속이는 것이었지 속임을 당하는 것이 아니었으며" 또한 프랑스의 원조금을 한몫 차지하려는 것이었다. 재커바이트 진영을 위해 1,200명을 파견할 것을 약속하고 그에 대한 자금을 얻어냈다고 하는데, 실제 그가 파견한 병력은 단지 300~400명에 불과했다. 이들 병력은 1715년 셰리프무어에서 그런 대로 역할을 했지만 그 전투만 치르고 모두 철수했다. 브러돌번의 둘째 아들은 투옥되었으나 그 자신은 봉기에 참여했는데도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아무 처벌도 받지 않았다.

큰아들 던컨은 그의 작위를 물려받지 못했는데 이는 던컨이 정신박약자였기 때문으로 전해진다. 둘째 아들 존 캠벨(1662~1752)이 브러돌번 앤드 홀런드 백작 2세가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브러돌번 앤드 홀런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