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브라우닝에 대한 평가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영국 빅토리아 시대의 대표적인 시인.

브라우닝은 다른 시인들보다 악의적인 오해와 그릇된 찬사를 많이 받았는데, 이는 그의 시가 가지는 극적인 특성이 이해되지 못한 데서 비롯되기도 했다.

1846년 이전의 많은 작품들이 무대를 겨냥해 쓰여졌고, 그 이후의 주요시들은 극적 독백기법을 점점 완숙하게 구사했다.

극적 독백기법에서는 1명의 화자가 말하고 이 이야기에 대한 화자의 해설이나 말하고 있는 주위의 분위기 등이 첨가된다. 그러나 브라우닝이 이 형식을 즐겨 쓰자, 의도적인 모호함과 기본적인 의도에 있어서 경박한 낙관주의라는 2가지 오해가 생겨났다. 이러한 비판은 타당한 점도 있으나 충분하지는 않다. 그의 시가 항상 어려운 것은 아니다. 짧은 서정시를 비롯한 많은 시에서 명백한 표현이 훌륭하게 구사되어 있다(운율학). 그렇지만 시구의 전달을 어렵게 하는 표면상의 장애물도 많다.

거칠고 불규칙적인 리듬으로 대사를 전달하기 때문에 시를 빨리 읽기가 거의 불가능하며, 생략된 구문은 독자를 혼란스럽게 만들지만 조금만 주의해서 읽는다면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다. 〈소르델로 Sordello〉·〈피렌체에 있는 옛 그림 Old Pictures in Florence〉과 같은 시는 주제에 대한 상당한 지식이 있어야 이해된다. 또한 슬러지 씨나 나폴레옹 3세 같은 허풍선이, 궤변론자의 독백을 즐겨 썼기 때문에 독자는 교묘하고 역설적인 일련의 이야기를 따라가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특징은 손쉬운 독서를 방해한다. 문체나 기법상의 독특한 점들이 해명된다고 해도 브라우닝의 시에는 여전히 흥미로운 요소들이 많다. 첫째, 독백 등에서 뜻밖의 시점을 택하여 독자에게 낯선 관점을 던질 때가 종종 있다. 둘째, 1편의 시 안에서 갑자기 강조점을 바꾸기도 한다. 예를 들어 〈리포 리피 신부〉·〈Master Hugues of Saxe-Gotha〉에서처럼 별로 중요하지 않은 주제를 통해 불변의 주제를 다룬다.

개별적인 관찰을 통해 초월적인 진리로 옮아가는 부분은 17세기 형이상학파 시인들이 그랬듯이 독자에게 어려움과 흥미를 부여한다. 셋째, 브라우닝의 시에서는 화자가 항상 아이러니 속에서 등장하기 때문에 풍자의 대상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 〈갈루피가의 토카파〉 같은 음악적인 시의 경우는 논쟁의 고비마다 거짓된 상황과 참된 상황을 구분해야 하며, 〈블로그램 주교의 변명〉 같은 매우 궤변적인 독백에서는 공감할 부분이 더욱 교묘하게 변화한다.

브라우닝이 철학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시를 썼다는 것은 맞지 않다.

왜냐하면 그의 철학은 그다지 심오하거나 흥미롭지 않으며 안이한 낙관주의에 머무르기 때문이다. 오히려 사변을 통한 신념보다는 상상에서 나온 신념을 추구했기 때문에 그의 시를 단순히 형이상학적 표현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다. 한편 브라우닝의 극적 독백은 그도 주장했다시피 가공의 인물을 화자로 형상화하면서 그들의 주장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브라우닝의 정서와는 다르다. 따라서 시 속에 나오는 가상의 인물들은 시인의 자화상 시리즈가 아니라 인간의 동기를 포괄적으로 나열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인의 그리스도교 신앙과 같은 개인적 믿음을 표현한 것이라는 근본적인 가정이 끊임없이 제기되기도 한다. 인간의 행위에 관한한 그는 애정이나 정직한 본성, 따뜻한 감정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공감했으며, 이러한 면들은 결코 풍자의 대상이 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그는 비록 실패하더라도 이상을 향해 전력을 다하는 사람들 편에 섰다. 그러나 다소 불합리해 보이지만 같은 시에서 그가 생각하는 것보다 낮은 수준에서 행동하거나 타협하는 사람들을 포용하는 태도를 동시에 보여준다.

브라우닝은 인간의 본질이나 운명에 대해 냉소적이고 비관적인 관점에 서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세상에 대해 깊이 생각지도 않은 채 순진하게 희망을 품지는 않았다. 브라우닝은 죽기 전 1864년부터 비평계의 반응을 얻기 시작했으며, 이때부터 많은 사람들에게 읽혔다.

하지만 그의 책은 아내나 테니슨의 것만큼 잘 팔리지는 않았다. 20세기에는 빅토리아 시대 시인들과 마찬가지로 그의 명성도 쇠퇴했으며, 독자들이 시에 담긴 가치에 점점 회의를 느끼면서 독자 폭이 줄어들었다. 브라우닝은 개인의 심리와 자신의 의식 흐름에 중점을 두면서 극적 독백을 구사한 점에서 로버트 프로스트나 에즈라 파운드 같은 많은 현대시인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또한 다양한 현대인의 삶을 인습의 냄새가 전혀 없는 언어로 표현했다는 점에서도 이들 시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브라우닝에 대한 평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