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현대식 사진기에서는 보통 사진에 나올 장면을 직접 보여주거나 거리계를 조절하여 초점을 확인하게 하고, 사진기의 노출상태나 그 장면의 적정노출을 나타내준다. 뷰파인더는 반사식과 직사식의 2가지 형태가 있다. 일안 반사식 사진기에서는 사진기 렌즈 자체가 거울에 의해 반사된 상을 나타내는 초점유리면과 함께 뷰파인더의 역할을 한다. 이안 반사식 사진기에서는 뷰파인더가 조리개 렌즈와 똑같은 자기 몫의 렌즈를 따로 갖고 있는데, 그것은 조리개 렌즈 위에 놓여지고 상은 거울에 반사되어 초점유리면에 나타난다. 상은 위아래가 바뀌지 않고 좌우가 바뀐다. 직사식 뷰파인더는 밝은 선이 그려져 있으며 광학적으로 투사된 직사각형이 사진에 나올 장면의 테두리를 만든다. 투영된 상은 위아래가 바뀌지도, 앞뒤가 뒤집어지지도 않는다.
현대식 사진기에서는 보통 사진에 나올 장면을 직접 보여주거나 거리계를 조절하여 초점을 확인하게 하고, 사진기의 노출상태나 그 장면의 적정노출을 나타내주기도 한다.
현대식 뷰파인더는 반사식과 직사식 2가지 형태가 있다. 일안(一眼) 반사식 사진기에서는, 사진기 렌즈 자체가 거울에 의해 반사된 상(像)을 나타내는 초점유리면과 더불어 뷰파인더의 역할을 한다. 상은 5각형의 프리즘을 거쳐 유리면에 보여지게 되는데 이 프리즘이 없다면 상은 상하 좌우가 바뀌어 나타날 것이다. 노출이 되는 순간 거울이 움직여 필름에 빛이 닿을 수 있도록 통로가 만들어진다. 이안(二眼) 반사식 사진기에서는 뷰파인더가 근본적으로 조리개 렌즈와 똑같은 자기 몫의 렌즈를 따로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조리개 렌즈 위에 놓여지고 상은 거울에 반사되어 초점유리면에 나타난다. 상은 위 아래가 바뀌지 않고 좌우가 바뀐다. 뷰파인더의 초점을 맞추는 기계장치는 본 렌즈까지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직사식 뷰파인더는 근본적으로 갈릴레이가 발견한 망원경 구조와 반대되는 것으로 밝은 선이 그려져 있으며 광학적으로 투사된 직4각형이 사진에 나올 장면의 테두리를 만든다. 투영된 상은 위 아래가 바뀌지도, 앞뒤가 뒤집어지지도 않는다. 직사식과 이안 반사식 뷰파인더가 장치된 사진기에서는 파인더와 사진기 렌즈의 시점(視點)이 약간 다르기 때문에 '시차'(視差)로 알려진 작은 오류가 발생한다. 이런 오류는 파인더를 사진기 렌즈에 될 수 있는한 가깝게 놓음으로써, 또는 파인더의 영역을 작게 하여 사진기의 영역이 그것을 포함할 수 있게 함으로써 줄일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